![지난 23일 경북 칠곡군 왜관읍 금남리 프리미엄 쌀 재배단지에서 기계를 이용한 본격적인 추수에 앞서 농부가 낫으로 직접 벼 베기를 하고 있다. [연합]<br>
](http://www.munhwatoday.co.kr/data/photos/20250939/art_1759017287914_92f907.jpg?iqs=0.8018698872231553)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올해 쌀 작황이 지난해보다 좋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기상 여건이 양호하다면서 쌀 단위 생산량이 지난해나 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28일 전망했다.
2025년산 쌀 단위 생산량은 10a(아르: 100㎡)당 524∼531㎏으로 작년보다 2.0∼3.2% 증가하고 평년과 비교하면 1.2∼2.5%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다만 수확기까지 기상 여건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올해 작황이 양호하지만, 쌀 생산량은 335만∼360만t(톤)으로 지난해(359만t)나 평년(368만t)보다 적을 수 있다.
이는 올해 벼 재배 면적이 67만8천㏊(헥타르·1㏊는 1만㎡)로 지난해보다 2만㏊(2.9%) 감소했기 때문이다. 전략 작물 직불제와 논 다른 작물 재배 지원 사업 등 벼 재배면적 조정제로 벼 재배 면적은 4년 연속 줄었다.
농촌경제연구원이 이달 중순 표본 농가를 조사한 결과 올해 조생종과 중만생종 벼 생육은 지난해보다 좋았다.
지난 6∼8월 생육기 평균 기온이 높았고 일조 시간이 많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달 들어 잦은 비로 깨씨무늬병, 잎집무늬마름병(문고병), 도열병이 증가하고 있어 모니터링과 방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농촌진흥청 벼 생육 상황 조사에서도 ㎡당 평균 벼알 수는 3만5천649개로 작년보다 1.4%, 평년보다 4% 각각 많았다.
산지 쌀 가격은 지난 15일 기준 20㎏당 5만6천333원으로 작년보다 28.8% 높다.
산지 쌀 가격은 보통 수확기(10∼12월) 이전에 재고가 줄어드는 단경기(7∼9월)에 오르는 경향이 있다.
산지 유통업체의 재고량이 지난 10일 기준 6만8천t으로 작년 대비 19만t이 줄고, 평년보다 12만t 감소한 영향으로 가격 상승세는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매 가격도 연일 급등해 작년보다 30% 가까이 올라 지난 26일 기준 20㎏당 평균 6만6천원을 넘었다.
다만 이달 들어 정부가 양곡 5만5천t을 추가 공급해 산지 쌀값 오름세는 둔화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햅쌀 생산량의 90%인 중만생종이 다음 달 초·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수확되면 쌀 가격이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