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인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의대 면역·류머티즘 임상 실장 매슈 베이커 박사 연구팀이 옵텀 연구 데이터베이스(Optum's Clinformatics Data Mart)의 자료를 근거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베이스 중 천식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11만7천346명(평균연령 52세, 여성 60%)과 이 두 질병이 없는 124만7천196명(평균연령 50세, 여성 48%)의 보험 청구 자료와 전자 건강 기록(2003~2019)을 분석했다. 천식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평균 8년간의 추적 기간에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이 두 질환이 없는 사람보다 5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겹친 환자는 퇴행성관절염 발생률이 이보다 더 높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은 알레르기 질환 중 빙산의 일각이다. 계절성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 알레르기 비염 등 다른 아토피성 증후군 역시 퇴행성관절염 위험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아토피성 증후군이란…
코를 심하게 골고 자면서 이따금 호흡이 끊기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obstructive sleep apnea)이 10대 청소년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몬테피오레 메디컬센터 아동병원 호흡기·수면의학 실장 라난 아렌스 박사 연구팀이 10대 청소년 98명의 뇌 MRI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중 53명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었고 과체중이거나 비만이었다. 나머지 45명은 체중은 비슷했지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없었다. 아이들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체중과 무관하게 나타나지만, 비만은 위험 요인일 수 있다. 전체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청소년은 수면 무호흡증이 없는 아이들보다 뇌의 겉 부분인 대뇌 피질의 두께가 얇고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의 일부 용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뇌는 신경 세포체로 구성된 겉 부분인 대뇌 피질과 신경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다. 해마의 일부분이 용적이 크다는 것은 염증 또는 부종이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심할수록 뇌의 이러한 구조적 차이는 더욱더 커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같은 적색육(red meat)을 염장, 훈제, 발효시켜 만든 가공 적색육(소시지, 베이컨 등) 과다 섭취가 혈액암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오사카(大阪) 대학의 시모무라 요시미쓰 환경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가공 적색육 과다 섭취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acute myeloid leukemia)과 골수 이형성 증후군(MDS: myelodysplastic syndrome) 위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본 공중보건 센터의 자료 중 9만3천3666명의 132만5천2 인년(person-years: 추적 조사 대상자의 인원수와 서로 다른 관찰 기간의 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조혈모세포가 악성 세포로 변해 골수에서 증식, 말초 혈관을 통해 전신에 퍼지면서 간, 비장, 림프선 등을 침범하는 혈액암이다. 골수 이형성 증후군은 골수가 정상적인 혈액세포를 만들지 못하는 현상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이행될 수 있다. 평균 5년의 추적 연구 기간에 연구 대상자 중 67명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49명이 골수 이형성 증후
사람들은 왜 초콜릿이나 과자 같은 건강에 좋지 않은 달고 기름진 음식을 쉽게 끊지 못할까? 고지방-고당분 음식을 계속 먹으면 뇌의 보상 회로가 변해 무의식적으로 이런 음식을 찾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막스플랑크 신진대사 연구소와 미국 예일대 연구팀은 과학저널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서 사람들에게 무작위로 고지방-고당분 음식과 저지방-저당분 음식을 먹게 하는 실험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비만과 뇌 도파민 기능 변화 간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변화가 특정인에게 원래부터 존재해 쉽게 살찌게 만드는 것인지, 비만 때문에 뇌 도파민 기능에 변화가 생긴 것인지, 또는 고지방-고당분 음식에 반복 노출돼 뇌 도파민 기능이 변한 것인지 등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고지방-고당분 음식 반복 섭취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정상 체중 참가자 49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정상적인 식단 외에 한 그룹은 고지방-고당분 요구르트를, 다른 그룹은 저지방-저당분 요구르트를 먹도록 했다. 두 그룹에 제공된 푸딩은 성분은 차이가 있지만 열량은 똑같았다. 논문 제1 저자인 막스플랑크 신진대사 연구소의 샤밀
염색체의 말단부인 텔로미어(telomere)가 짧으면 치매 위험 징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텔로미어란 구두끈의 끝이 풀어지지 않도록 플라스틱으로 싸매는 것처럼 세포의 염색체 말단부가 풀어지지 않게 보호하는 부분이다. 텔로미어는 세포가 한 번 분열할 때마다 점점 풀리면서 그 길이가 조금씩 짧아지며 마지막에는 세포가 노화돼 죽게 된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 인구 보건 센터의 안야 토피왈라 교수 연구팀이 약 50만 명(40~69세)의 유전, 생활 습관, 건강 정보가 수록된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데이터베이스 중 3만1천661명의 뇌 MRI 영상과 전자 건강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들이 지닌 백혈구의 텔로미어 길이가 이들의 뇌 MRI 영상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텔로미어의 길이가 길수록 뇌 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텔로미어의 길이가 긴 사람은 뇌의 회색질(gray matter)과 뇌 기억 중추인 해마(hippocampus)의 용적이 컸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회색질과 해마가 모두 위축된다. 또 텔로미어가 긴 사람은 회색질의 고랑이 진 표면인 대뇌 피질이 두껍다
커피를 마셨을 때 조기 심방 수축((PAC: premature atrial contractions)이 증가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기 심방 수축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에서 일어나는 조기 박동에 의한 불규칙한 심장 리듬을 말한다. 심방에서 예상 박동 형성 시점보다 일찍 전기를 만들어 박동을 일으키는 경우로 불안한 느낌이 들지는 모르지만, 건강한 심장의 경우 정상적인 현상이다. 사람에 따라 심박동 하나를 건너뛰거나 심박동 하나가 추가되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 의대 심장 전문의 그레고리 마커스 교수 연구팀은 커피를 마실 때 심장의 불규칙 박동이 얼마나 일어나는지 커피를 마시는 건강한 사람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부분 커피를 하루 한 잔 정도 마시는 사람들이었다. 연구팀은 2주 동안 어떤 날은 카페인 커피를, 또 어떤 날은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도록 했다. 이들에게는 심장의 전기 활동을 기록할 수 있는 심전도 패치를 항상 붙이고 다니게 했다. 그 결과 카페인 커피를 마신 날은 조기 심박동 수축 횟수가 58회, 카페인을 전혀 섭취하지 않은 날은 53회로…
대퇴골의 골밀도 감소가 치매 예고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에라스뮈스(Erasmus) 대학 메디컬센터의 모하마드 이크람 역학 교수 연구팀이 치매가 없는 노인 3천651명(평균연령 72.3세, 여성 57.9%)을 대상으로 진행된 전향적 인구 동일 집단 연구인 '로테르담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으로 대퇴골 경부(femoral neck)와 요추 등의 골밀도 검사를 받았다. 이와 함께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와 '노인 정신상태 검사'(Geriatric Mental Schedule)를 통해 치매 검사도 받았다. 평균 11.1년의 추적 관찰 기간에 이중 18.8%가 치매 진단을 받았다. 그중 76.7%는 알츠하이머 치매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 중 약 27%는 치매 위험이 매우 높은 변이 유전자(ApoE-e4)를 지니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표준편차(평균값: standard deviation)가 1단위 낮아질 때마다 모든 형태의 치매 위험은 12%씩…
흡연이 난치성 피부질환인 건선(psoriasis)의 위험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선은 면역체계의 공격으로 촉발된 염증으로 피부가 손상되면서 가렵고 거친 붉은 반점들이 피부를 뒤덮는 자가 면역성 피부질환이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병원 피부과 전문의 샤를로테 네슬룬-코크 교수 연구팀이 '코펜하겐 인구 연구' 참가자 10만5천912명의 생활 습관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전했다. 평생 흡연량이 20갑년(pack-year) 이상인 사람은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은 사람보다 건선 발생률이 2.23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 흡연량이 20갑년 이하인 사람은 건선 발생률이 담배를 평생 피우지 않은 사람보다 64% 높았다. 1갑년은 1년간 담배를 하루 한 갑씩 피운 것을 말한다. 따라서 20갑년은 매년 담배를 하루 한 갑씩 20년 피운 경우이다. 그러나 담배를 하루 2갑씩 10년 피웠어도 20갑년이 된다. 그러나 이 결과는 흡연과 건선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증거는 될 수 없다. 이를 증명하려면 멘델 무작위 분석(Mendelian randomization)이 필요하다. 멘델 무작위 분석이란 특정 질병의 환경적 위험인자들과 그와 연
[문화투데이 구재숙 기자] 우리나라 국민 절반은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0∼20대의 경우 과반수가 결혼 후에도 자녀를 낳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만 13세 이상 인구 가운데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의 비중은 50.0%로 집계됐다. 나머지 절반가량은 굳이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다는 의미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여전히 절반 이상(55.8%)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여자는 44.3%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은 65.3%로 집계됐다. 특히 10대의 경우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이 41.1%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낮은 비중을 나타냈다. 20대 역시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4.0%에 그쳤다. 10∼20대 과반은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갖지 않아도 된다고 느낀 것이다. 현재 결혼·출산 적령기인 30대에서도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은 54.7%에 그쳤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래 역대 최
호주 국립대학 노화·보건·웰빙 연구센터(Centre for Research on Ageing, Health and Wellbeing)의 테르겔 남스라이 교수 연구팀은 중년에 하루 수면시간이 너무 짧거나 길면 뇌의 용적(brain volume)이 줄어들고 인지기능이 저하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약 50만 명(40~69세)의 유전, 생활 습관, 건강정보가 수록된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데이터베이스 중 수면 습관 정보와 뇌 스캔 기록이 있는 2만9천545명(37~73세, 평균연령 54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하루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이거나 9시간 이상인 사람은 7~8시간 자는 사람보다 뇌의 용적이 적고 기억력, 반응 시간(reaction time),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 등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유동성 지능이란 경험이나 학습과 무관한 타고나는 반사적인 지능으로 일반적인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낮잠도 뇌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낮잠은 뇌의 회색질(gray matter)과 뇌의 기억 중추인 좌측…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KGC인삼공사 천연물효능연구소와 수원대 식품영양학과 이유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홍삼에서 추출한 오일 성분의 전립선 비대증 개선 효과가 동물실험에서 관찰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인삼 연구 관련 국제학술지(Journal of Ginseng Research) 최근호에 발표됐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전립선 비대증을 유발한 생쥐에 8주 동안 100㎎/㎏의 홍삼오일을 매일 투여하고 전립선의 무게, 전립선 특이항원(PSA) 수치 등을 분석했다. 이 결과 홍삼오일 섭취군은 전립선 비대증을 일으킨 후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견줘 전립선 무게가 20% 줄어든 것으로 측정됐다. 또 전립선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는 전립선 특이항원(PSA) 수치도 대조군은 64% 높아졌지만, 홍삼오일 섭취군은 전립선 비대증이 없는 정상 쥐와 같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연구팀은 "홍삼오일 성분이 전립선 비대를 유발하는 효소와 호르몬을 억제하고, 세포증식을 조절함으로써 전립선 무게 및 혈중 PSA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슬프고 우울한 기분이 오래 지속되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일랜드 골웨이(Galway) 국립대학 의대 임상 연구 센터 노인·뇌졸중 연구실의 로버트 머피 교수 연구팀이 유럽 , 남·북미,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의 32개국에서 총 2만6천877명(평균연령 61.7세, 여성 40.4%)을 대상으로 진행된 '인터스트로크'(INTERSTROKE)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중 1만3천392명은 2007년 1월에서 2015년 8월 사이에 뇌졸중으로 입원 치료를 받았다. 나머지 1만3천485명은 이들과 성별, 연령, 거주지를 매치시킨 뇌졸중 병력이 없는 대조군이었다. 연구 대상자들에게는 지난 1년 사이에 슬프거나 우울한 날이 2주 이상 지속된 일이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물었다. 이에 해당하는 사람은 뇌졸중 그룹이 18.3%, 대조군이 14.1%로 나타났다. 연령, 성별, 교육 수준, 신체활동, 생활 습관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했을 때 우울증 그룹은 대조군보다 급성 뇌졸중 위험이 46%, 허혈성 뇌졸중(뇌경색) 위험이 44%, 출혈성 뇌졸중(뇌출혈) 위험이 54%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우울 증세가 심할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인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의대 면역·류머티즘 임상 실장 매슈 베이커 박사 연구팀이 옵텀 연구 데이터베이스(Optum's Clinformatics Data Mart)의 자료를 근거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베이스 중 천식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11만7천346명(평균연령 52세, 여성 60%)과 이 두 질병이 없는 124만7천196명(평균연령 50세, 여성 48%)의 보험 청구 자료와 전자 건강 기록(2003~2019)을 분석했다. 천식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평균 8년간의 추적 기간에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이 두 질환이 없는 사람보다 5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겹친 환자는 퇴행성관절염 발생률이 이보다 더 높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은 알레르기 질환 중 빙산의 일각이다. 계절성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 알레르기 비염 등 다른 아토피성 증후군 역시 퇴행성관절염 위험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아토피성 증후군이란
코를 심하게 골고 자면서 이따금 호흡이 끊기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obstructive sleep apnea)이 10대 청소년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몬테피오레 메디컬센터 아동병원 호흡기·수면의학 실장 라난 아렌스 박사 연구팀이 10대 청소년 98명의 뇌 MRI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중 53명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었고 과체중이거나 비만이었다. 나머지 45명은 체중은 비슷했지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없었다. 아이들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체중과 무관하게 나타나지만, 비만은 위험 요인일 수 있다. 전체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청소년은 수면 무호흡증이 없는 아이들보다 뇌의 겉 부분인 대뇌 피질의 두께가 얇고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의 일부 용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뇌는 신경 세포체로 구성된 겉 부분인 대뇌 피질과 신경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다. 해마의 일부분이 용적이 크다는 것은 염증 또는 부종이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심할수록 뇌의 이러한 구조적 차이는 더욱더 커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같은 적색육(red meat)을 염장, 훈제, 발효시켜 만든 가공 적색육(소시지, 베이컨 등) 과다 섭취가 혈액암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오사카(大阪) 대학의 시모무라 요시미쓰 환경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가공 적색육 과다 섭취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acute myeloid leukemia)과 골수 이형성 증후군(MDS: myelodysplastic syndrome) 위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본 공중보건 센터의 자료 중 9만3천3666명의 132만5천2 인년(person-years: 추적 조사 대상자의 인원수와 서로 다른 관찰 기간의 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조혈모세포가 악성 세포로 변해 골수에서 증식, 말초 혈관을 통해 전신에 퍼지면서 간, 비장, 림프선 등을 침범하는 혈액암이다. 골수 이형성 증후군은 골수가 정상적인 혈액세포를 만들지 못하는 현상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이행될 수 있다. 평균 5년의 추적 연구 기간에 연구 대상자 중 67명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49명이 골수 이형성 증후
사람들은 왜 초콜릿이나 과자 같은 건강에 좋지 않은 달고 기름진 음식을 쉽게 끊지 못할까? 고지방-고당분 음식을 계속 먹으면 뇌의 보상 회로가 변해 무의식적으로 이런 음식을 찾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막스플랑크 신진대사 연구소와 미국 예일대 연구팀은 과학저널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서 사람들에게 무작위로 고지방-고당분 음식과 저지방-저당분 음식을 먹게 하는 실험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비만과 뇌 도파민 기능 변화 간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변화가 특정인에게 원래부터 존재해 쉽게 살찌게 만드는 것인지, 비만 때문에 뇌 도파민 기능에 변화가 생긴 것인지, 또는 고지방-고당분 음식에 반복 노출돼 뇌 도파민 기능이 변한 것인지 등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고지방-고당분 음식 반복 섭취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정상 체중 참가자 49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정상적인 식단 외에 한 그룹은 고지방-고당분 요구르트를, 다른 그룹은 저지방-저당분 요구르트를 먹도록 했다. 두 그룹에 제공된 푸딩은 성분은 차이가 있지만 열량은 똑같았다. 논문 제1 저자인 막스플랑크 신진대사 연구소의 샤밀
[문화투데이 김용정 기자] 충남 예산군은 '핫플레이스' 예산시장 재개장 첫날 1만5천여명 인파가 몰렸다고 2일 밝혔다. 이날 전날과 비슷한 규모의 방문객을 가정했을 때, 재개장 첫 주말 약 3만명이 예산시장을 찾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군은 설명했다. 예산시장은 지난 1월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와 함께 추진한 '예산시장 살리기 프로젝트'로 단숨에 전국적인 명소로 떠올랐다. 장옥 바닥과 편의시설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한 달여간 휴장하고 재정비를 한 뒤 지난 1일 다시 문을 열었다. 16개 점포를 추가 창업해 메뉴를 대폭 늘리고, 자리 대기 시스템도 마련했다. 전날 공식 개장 시간 전부터 줄을 서는 이들도 있었고, 일부 매장은 오전부터 재료가 소진되기도 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대기 시스템 덕분에 전보다 편리해졌으나 주변 도로와 주차장이 혼잡했다는 방문객들의 평가가 있었다. 충남도는 예산시장 주차난 해소를 위해 2025년까지 100억원을 투입해 주차면서 120대 규모(2층 규모·연면적 4천268㎡)의 주차타워를 건립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시장 안에 군 관광 안내 책자를 마련하고, 대형 LED 화면에 관광지 홍보 영상을 송출하는 등 방문객들이
[문화투데이 김용정 기자] 정부가 주류 판매 규제를 개선해 가격경쟁을 유도한다. 편의점 등 소매점이나 식당·주점이 도매업자로부터 술을 싼값에 조달할 수 있도록 각종 할인을 허용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 가격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맥주 4캔 1만원'과 같은 식의 묶음 할인이나 식당에서의 음식 패키지 할인 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일 기획재정부와 국세청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국세청은 이달 중으로 주류 거래 시 허용되는 할인의 구체적 기준을 담은 지침을 마련할 예정이다. 현행 주류 면허법과 시행령에 따르면 주류 판매업자는 주류 거래와 관련해 장려금, 할인, 외상매출금 또는 수수료 경감 등 그 명칭이나 형식과 관계없이 금품(대여금 제외) 또는 주류를 제공하거나 제공받으면 안 된다. 주류 판매업자가 부당하게 상품 대금의 일부를 구매자에게 돌려주는(리베이트) 방식으로 고객을 유인하거나 특정 상품 판매를 늘리는 것을 막기 위한 규정이다. 그러나 이런 규정 때문에 도매업체가 대량 구매 고객에게 할인 혜택을 주는 것까지 금지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편의점이나 대형 주류 판매 매장은 물건을 대량으로 싼값에 들여와 소비자에게도 비교적
[문화투데이 구재숙 기자] 국내 맥주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국내 맥주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하이트진로와 오비맥주는 각각 신제품을 출시하고 기존 제품을 리뉴얼하며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기존 라거 맥주와 차별화된 원료와 공법을 적용한 '반전라거-켈리'를 4일 출시한다. 켈리는 하이트진로가 2019년 테라를 출시한 뒤 4년 만에 내놓는 신제품 맥주다. 켈리는 덴마크산 프리미엄 맥아만 100% 사용해 만들었으며 알코올 도수는 4.5%다. 7도에서 1차 숙성한 뒤 영하 1.5도에서 한 번 더 숙성시키는 더블 숙성 공법으로 강렬한 탄산감을 더했다. 김인규 하이트진로 사장은 지난 신제품 발표회에서 "테라로 다져진 맥주 시장에서의 안정적 위치 대신 과감하게 새로운 도전을 하기로 결정했다"며 "켈리로 맥주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켜 국내 맥주시장 1위를 반드시 탈환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맥주 소비자들의 취향과 니즈가 다양해진 만큼, 테라와 켈리의 '연합작전'으로 맥주시장 점유율을 늘리겠다는 설명이다. 하이트진로는 이미 참이슬과 진로의 시너지로 점유율을 늘려본 사례가 있다. 하이트진로의 2022년 소주시장 점유율은 진로를 출시한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미승인 유전자변형 돼지호박(주키니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제품 2개를 확인해 압류하고 관할 지자체에 회수·폐기할 것을 요청했다고 1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가찬식품(충북 음성군 소재)의 즉석조리식품 '고추잡채'(992g·소비기한 2024년 1월 2일), 대상푸드플러스주식회사(충남 천안시 소재)가 제조하고 커머스파크(서울 서초구 소재)가 유통전문판매업체인 즉석조리식품 '아이 맛있는 순한 청국장찌개'(200g·유통기한 2023년 9월4일)다. 식약처는 국내에서 생산된 돼지호박 종자 일부가 승인되지 않은 유전자변형생물체(LMO)로 확인됨에 따라 지난달 26일 오후 10시를 기해 돼지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모든 가공식품에 대해 잠정 유통·판매 중단 조치를 했다. 이후 돼지호박을 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품목제조보고한 234개사 전체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해 실제 생산 여부, 제조·유통 과정의 재고량 등을 확인했고, 소비(유통)기한이 남아있는 76개사 108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를 진행했다. 검사에서 미승인 호박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제품에 대해서는 유통·판매 중단 조치를 해제했다. 식약처는 "미승인 호박 유전자가 검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