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라이프 스타일

한국인 노동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적자

16세 최대 소비…생애주기적자 '200조원' 첫 돌파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우리 국민은 45세에 소득이 가장 많았다가 61세부터는 소비가 소득을 초과하는 적자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5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3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연령에 따른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분석해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1인당 생애주기별로 보면 0∼27세까지는 소비가 소득보다 많아 적자가 지속된다. 이중 16세의 적자 규모가 4천418만원으로 가장 컸다. 교육비 증가 등이 이유로 추정된다.

 

28세부터는 소득이 소비를 초과하며 흑자로 전환되고 45세에 4천433만원으로 가장 큰 소득을 기록한다. 흑자 규모 또한 1천748만원으로 최대다.

 

이후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돌아서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적자 규모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은퇴 후 노동소득이 줄고 보건 소비 등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2010년 이후 흑자 진입 시기는 대체로 27∼28세로 일정했지만, 적자 재진입 시점은 2010년 56세에서 2023년 61세로 늦춰졌다. 은퇴 후에도 일을 하는 고령층이 늘어난 영향이라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생애주기별 적자는 정부의 공공 이전, 민간의 가구 내·간 이전 등을 통해 보완된다.

 

노동연령층(15∼64세)에서 순유출된 320조7천억원은 유년층(14세 이하)와 노년층(65세 이상)에게 각각 184조5천억원, 131조1천억원 이전됐다.

 

세금 흐름을 볼 수 있는 공공 이전을 살펴보면, 노동연령층에서 199조4천억원 순유출됐고, 유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92조4천억원, 106조9천억원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상속·증여 등 민간이전도 노동연령층에서 121조3천억원 순유출이 발생했고, 유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92조1천억원, 24조2천억원이 순유입됐다.

 

2023년 우리나라 국민의 생애주기 적자 총액(전체 생애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뺀 값)은 전년보다 15.9%(31조원) 증가한 226조4천억원으로, 처음으로 200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전체 소비 증가 폭이 노동소득 증가 폭을 앞질렀기 때문이다.

 

소비는 전년 대비 7.0% 증가한 1천459조2천억원으로, 이중 공공소비는 4.5%, 민간소비는 8.0% 증가했다.

 

공공소비 중에서는 공공교육소비(7.7%)가, 민간소비에서는 민간보건·기타소비(8.3%) 증가 폭이 컸다.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노년층 소비가 12.0% 늘었고, 노동연령층은 6.3%, 유년층은 4.3% 증가했다.

 

노동소득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1천232조8천억원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임금소득은 5.6%, 자영자노동소득은 3.0% 늘었다.

 

연령계층별는 유년층 적자는 4.3% 증가한 184조4천억원, 노년층 적자는 10.3% 증가한 179조2천억원이었다.

 

노동연령층은 137조2천억원 흑자를 기록했지만, 전년 대비 규모는 4.7%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