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추석 앞둔 9월 먹거리 물가 '고공행진'

명절 수요 등 영향 달걀값 3년 8개월만에 최대 폭 뛰어
빵 6.5% 쌀·커피 16% 수산물 6.4% 등 높은 상승세 지속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명절 수요 영향으로 달걀값이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는 등 가공식품과 축·수산물을 포함한 먹거리를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가 지속됐다.

 

정부는 농축수산물, 석유류 등 민생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가격·수급 변동 요인에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7월 2%대를 기록했다가 8월엔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요금 인하 효과로 1.7%로 반짝 둔화했다.

 

가공식품 물가는 전달과 마찬가지로 4.2% 뛰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p) 끌어올렸다. 특히 빵(6.5%), 커피(15.6%)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가공식품 상승세로 공업제품 물가는 2.2% 상승하며 지난 1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임혜영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전년 동월과 비교한 물가 상승률은 가격이 한번 오르면 효과가 1년간 지속이 된다"라며 "가공식품 물가 인상 요인은 최대한 자제하도록 업계와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5.4%, 6.4% 오르며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은 전달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달걀은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늘면서 전달(8.0%)보다 물가 상승 폭(9.2%)이 커졌다. 2022년 1월(15.8%)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정부는 산지가격 고시를 폐지하는 등 달걀값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 중이다.

 

농산물 물가는 1.2% 하락했다. 채소류 물가가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하락 전환(-12.3%)한 것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쌀(15.9%), 찹쌀(46.1%) 등 일부 품목은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만 전반적인 추석 성수품 물가는 안정적인 흐름이라고 정부는 평가했다.

 

공공서비스 물가는 8월엔 SK텔레콤 효과로 3.6% 하락했으나 9월엔 1.2% 올랐다.

 

외식 물가는 3.4% 상승했다. 배달료 인상, 작년 명절 세일행사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달(3.1%)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외식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물가는 2.9%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2.5% 올랐다. 전달(1.5%)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다.

 

어류·조개류가 속한 신선어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0% 상승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는 말에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라고 답했다.

 

기재부는 국제유가 변동성 등을 물가 불확실성으로 지목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