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대전 지역 가계부채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청년과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채무 상환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의 '대전지역 가계부채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지역 가계 부채는 전기 대비 1조5천억원 증가한 약 48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부터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1분기에는 최근 5년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말보다 21.8% 늘어난 것으로, 이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두 번째로 높다고 한은은 전했다.
비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1분기 대전 지역 주택담보대출은 전기 대비 1조4천억원 증가했다.
특히 단위농협을 포함한 상호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나면서 대전지역 비은행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전기 대비 18%)은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한은은 최근 대출금리가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고 주택 매매량이 늘어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상호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이유는 작년 하반기 이후 시중은행 가계대출 관리 조치가 강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채무상환 부담은 청년층(20∼30대)과 저소득층(하위 30%)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1분기 대전 지역 소득 대비 채무상환 부담(LTI)은 222.3%로 전국 평균보다 낮지만 전기 대비 6.3%P 올라, 6개 광역시 가운데 가장 빠르게 상승했다.
특히 청년층의 경우 최근 5년간 증가 폭이 48.1%P로, 중장년층(24.6%P)과 고령층(-15.9%P)을 크게 상회했다.
소득수준별로 보면 저소득층의 LTI가 330.4%로 중소득층(191.4%)과 고소득층(226%)을 크게 웃돌았다.
가계부채의 부실 정도를 반영하는 연체율은 전국 평균보다 낮지만 지난해 하반기 이후 비은행권·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빠른 상승세를 보인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김윤재 한은 조사역은 "향후 금융당국의 거시건전성 정책과 지역 주택경기 흐름이 가계부채에 미칠 영향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청년·저소득층의 채무상환 부담이 가중되고 비은행권 금융기관 자산 건전성 등 가계부채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