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학교에서 급식과 돌봄 등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0일 서울과 인천, 강원, 세종, 충북 등 5곳에서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이들 지역의 파업 참여율은 12.9%로 집계됐다.
교육부는 이날 오전 11시 기준, 5개 교육청 소속 교육공무직원 5만3천598명 가운데 6천921명(12.9%)이 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지역별 파업 참여 인원을 보면, 강원이 1천79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1천451명), 인천(1천446명), 충북(1천352명), 세종(874명) 순이었다.
해당 지역 국립학교 15곳의 파업 참여 인원은 1명이다.
이들 지역의 급식 대상 학교(3천298곳) 가운데 급식 운영이 중단된 학교는 1천89곳(33%)으로 집계됐다. 나머지 2천209곳은 급식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대체식을 실시한 학교는 1천55곳, 학사일정 조정 등으로 인한 급식 미실시 학교는 34곳이었다.
초등돌봄이 중단된 학교는 전체 돌봄교실 운영 학교의 1.6%인 25곳이다.
돌봄교실 운영학교는 총 1천480곳으로, 이 가운데 파업 참여자가 있는 학교는 132곳이다.
유치원 돌봄 운영이 되지 않은 곳은 20곳(1.9%)이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임금·수당 인상과 복리후생 차별 철폐를 요구하며 이날부터 릴레이 파업에 들어갔다.
이틀째인 21일에는 광주·전남·전북·제주, 다음 달 4일에는 경기·대전·충남, 5일에는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 노동자들이 각각 파업을 벌인다.
교육부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올해 집단임금 교섭 타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