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교육 당국과 집단임금 교섭 파행으로 이달 20∼21일, 다음 달 4∼5일 릴레이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학교 급식종사자, 돌봄전담사 등이 포함된 학교비정규직 노동자의 파업으로 학교 급식과 돌봄에 차질이 예상된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이 같은 총파업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연대회의는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과 총 8차례에 걸쳐 집단임금 교섭을 벌였지만, 교육 당국이 노동조합 요구를 일축했다"며 "교육 관료가 노동자를 총파업으로 내몰았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국회는 차별 해소 예산 편성과 저임금 구조 해결, 학교급식 종합대책 마련, 교육공무직 법제화, 학교급식법 개정이라는 절박한 요구에 즉시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대회의는 "총파업 이후에도 진전된 안이 없다면 신학기 총력 투쟁으로 더욱 강력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교육 당국과 노조는 임금 인상 등에 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연대회의는 정기상여금 정액 150만원 등의 지급을 요구했으나 교육 당국은 명절휴가비 연 5만원 인상안을 내놓으며 대립했다.
파업은 권역별로 나눠 하루씩 진행된다.
첫날인 이달 20일에는 서울, 인천, 강원, 세종, 충북 노동자들이. 21일에는 광주, 전남, 전북, 제주 노동자들이 파업한다.
다음 달 4일에는 경기, 대전, 충남이, 5일에는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울산이 파업을 벌인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지난해 12월 6일에도 하루 동안 총파업을 벌인 바 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당시 교육공무직 17만5천369명의 15.0%에 해당하는 2만6천292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이에 따라 전국 급식 대상 학교의 30.7%에 급식이 제공되지 않아 빵과 우유 등을 대신 제공하거나 도시락을 가져오게 했다. 또 돌봄 프로그램도 차질이 빚어졌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이번 파업에 대비해 학교별 급식 대책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