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9일 과잉생산 우려가 있는 논콩과 가루쌀의 생산 속도를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송 장관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쌀이 과잉돼 벼 재배면적을 줄이려고 논에 콩이나 가루쌀 같은 다른 작물 재배를 장려하는 정책 때문에 콩 재고량이 급증했다는 지적에 "소비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생산량이 급격히 늘어나면 가격이 하락할 우려가 있다"면서 "늘어나는 속도를 조절하자고 논의하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수입콩과 국산콩의 가격 차이를 줄이면서 국산콩을 많이 소비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 "식품회사에서 우리콩을 써서 두부도 만들고 프리미엄 시장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가루쌀 관련해서는 "전 정부에서 목표치가 과다해서 작년에 약간 줄였다"면서 "베이커리 신제품을 계속 만들고 있는데 소비 촉진 노력을 하면서 생산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농산물 유통 구조 문제로 도매시장 법인과 대형 유통업체의 배만 불린다는 비판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데 대해서는 도매시장 수수료를 낮추는 등 유통 구조를 효율화하고 생산도 안정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에 '치킨벨트'를 선정할 것이라고 했다. 송 장관은 "굳이 한 곳일 이유는 없다. 다양한 치킨을 지역에서 관광거점과 연계해 사업화한다면 새로운 (외국인) 관광거점이 여기저기 생기고 농촌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지난달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 앞에서 "치킨벨트를 구상해보려고 한다. 외국인들 관심이 많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한미 무역협상과 관련해 미국산 대두 수입 확대가 협상 테이블에 올랐을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해 "언론에서 봤는데 중국이 (미국산) 대두를 수입하지 않으니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 같고 내가 아는 건 거기까지"라고만 답했다.
그러면서 "강경화 주미 대사는 '미국이 농축산물 추가 개방을 요구한 사실이 없다'고 한 걸로 언론에서 봤다"고 덧붙였다.
송 장관은 농작업 중 사망하는 농민이 전체 산업 평균의 3배로 높은 데 대해서는 "책임을 절감하고 관련 조직을 정비하고 통계도 만들려 한다. 안전교육을 강화해 피해를 줄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