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실제 물가와 체감물가 간 괴리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6일 김상봉 한성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2019∼2024년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중 의식주와 관련되고, 상승률이 높은 항목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주거와 식생활, 의류를 합친 의식주 물가는 최근 5년간 연평균 4.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2.8%)보다 1.8%포인트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식주 물가 중에서는 주거 물가가 가장 큰 연평균 5.5%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식료품(5.2%)과 음식 서비스(4.0%), 비주류 음료(3.9%)로 구성된 식생활 물가는 연평균 4.6% 올랐고, 의류 물가는 2.9%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의식주 물가가 전체 물가보다 빠르게 오른 이유로 국제 에너지 및 농식품 가격 상승, 높은 유통비용, 인건비 부담 등을 꼽았다.
특히 가장 많이 오른 주거 물가 중에서는 원료 수입 의존도가 큰 전기·가스 요금이 7.0%로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2021∼2022년 천연가스 가격이 치솟았고, 환율도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수도 및 주거 관련 서비스 물가는 인건비와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공동주택 관리비가 오르며 4.3%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공동주택 관리비는 2019년 ㎡당 2천245원에서 올해 2천988원으로 3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식생활 물가와 관련해선 농산물 유통비용 및 국제 농식품 가격이 상승을 이끌었다고 해석했다.
운송비, 인건비 등 유통비용이 소비자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47.5%에서 2023년 49.2%로 높아졌고, 기후변화 영향으로 세계 식량가격지수도 2021년 이후 120.0을 상회하고 있다.
옷, 장신구 등 의류 물가는 2019년부터 연평균 2.9% 오르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의류 물가 상승 배경으로 다품종·소량 생산,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 의류업계 재고 부담, 인건비 및 국제운임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민생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으로 ▲ 의류 제조의 디지털 혁신 지원 ▲ 수입 농식품 물가의 국내 완충장치 마련 및 유통 효율화 ▲ 에너지 절감 시설 도입 및 인근단지 공동관리 등을 통한 주거비 절감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의류 제조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해 AI 기반 정밀수요 예측으로 재고 최적화와 원가 절감을 유도해야 한다고 보았다.
식료품 물가와 관련해선 농산물 중 개방도가 높은 곡물을 중심으로 수입가 상승분을 보전하는 물가 완충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주거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거비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차장, 엘리베이터 등 공용공간에 형광·백열등 대신 에너지 절감 시설을 설치하고, 단지 간 공동관리를 통해 인건비를 감축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