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세종시는 전의면 비암사의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이 국가보물로 지정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지난 12일 국가보물로 지정 예고된 이 불상은 30일 후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 심의가 끝나면 최종 국가 보물로 지정된다.
조선 전기 불상의 형식과 기법을 보여주는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194.2㎝, 무릎 폭 132㎝로 나무로 윤곽까지 만든 후 소량의 흙으로 세부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됐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소조불이 나무로 개략적인 뼈대를 만들고 그 위에 흙으로 대부분 상을 완성하는 방식과는 차이를 보인다.
세종시는 특히 현존 수량이 극히 적은 16세기 불상으로서 희소성과 상호(相好) 표현에서 뚜렷한 제작자의 개성도 미술사적으로 큰 가치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시 관계자는 "비암사 소조불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조선 전기 불상의 형식과 기법을 이해하는 데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체계적인 보존 관리와 함께 그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