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충북 증평군은 복지 사각지대 없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책을 펼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군은 건강보험료 체납, 단전·단수 기록 등을 분석한 빅데이터 기반 위기 가구 발굴 시스템을 상시 운영하고 있다.
데이터 분석으로 놓치기 쉬운 위기 가구는 지역 내 민·관 협력망을 활용한다.
이를 위해 군은 이장, 우체국 집배원, 건강음료 배달원 등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임명했다.
이들은 위기 의심 가구를 방문, 안부를 확인하고 상황에 따라 군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군에 따르면 최근 도안면의 한 이장은 전기와 수도가 끊긴 컨테이너에서 홀로 지내던 A씨를 발견해 면사무소에 알렸다.
도안면사무소 직원과 증평읍 맞춤형 복지팀은 거동이 불편한 A씨의 건강 상태와 거주 환경을 점검하고 '주거상향 지원 사업'을 통해 임시 거처를 마련해주기도 했다.
군은 또 A씨와의 상담 과정에서 노숙 상태에 놓인 형의 존장을 파악한 뒤 같은 사업을 통해 LH 임대 아파트에 입주하게 했다.
군은 또 2018년부터 '초록의 안부 인사'(주 2회)를, 작년부터는 '하루 안부 인사(주 5회)'를 통해 위기 가구를 살피고 있다.
이들 사업은 군과 계약한 건강음료 업체 직원이 음료를 전달하며 안부를 살피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데이터와 현장의 눈, 이웃의 관심이 함께 작동하는 증평형 복지모델로 군민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