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고 장마 후 폭염이 지속되고 있어 온도와 습도가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지속되고 있다.
여름철의 식중독 발생건수를 분석해보니 여름철(6~8월)에 발생한 식중독은 평균 99건이고 이중 음식점에서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 비율의 58%을 차지하여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에 발생한 식중독은 구토, 복통, 발열, 설사 등을 일으키는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인 것으로 나타나 음식점에서는 식재료 취급 및 조리, 개인위생관리 등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주요 원인식품은 살모넬라는 달걀말이, 달걀지단 및 김밥, 도시락 등 조리식품 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병원성대장균은 가열조리없이 섭취하는 생채소 및 육류 등이 원인이며, 캠필로박터 제주니는 가금류 등이 주요원인이다.
살모넬라와 같은 세균들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가열조리로 충분히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달걀 조리 시에는 노른자와 흰자가 모두 단단해질 때까지 충분히 익혀야 하며, 특히 왕란은 특별히 주의하여 완숙으로 조리해야 한다. 또한 육류나 가금류를 가열 조리할 때는 중심온도 75℃, 1분 이상으로 속까지 완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달걀을 직접 취급 하는 경우에는 냉장 유통되는 달걀을 이용하는 것이 좋고, 상온 유통 달걀은 보다 주의가 필요하다.
달걀 껍질 만진 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하며, 달걀 사용 시 달걀물(액란)이 묻은 손으로 다른 식재료, 조리된 음식 또는 조리기구를 만져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채소류의 경우는 여름철에는 장마 등으로 가축의 분뇨·퇴비 등이 환경에 유출되면 병원성 대장균이 채소류에 이행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겉절이, 쌈채소 등 가열없이 섭취하는 채소류의 경우 염소소독액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이상 세척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교차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채소류 절단작업은 세척후에 하는 것이 좋고 식재료를 상온에서 보관할 경우 미생물이 쉽게 증식 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조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약처에서는 식중독예방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다. 우선 식중독 신속검사버스를 6대 권역별로 운행하고 있다. 국제행사, 지역축제 현장에서 식중독균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식중독 예방홍보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식중독 예방수칙 실천을 위해 기억하기 쉬운 슬로건을 만들어 집중홍보하고 있다. 바로 “식중독 예방~ 손보구가세요!”이다
먼저 ‘손’ 손씻기, 음식을 만들거나 먹기전에 비누로 30초 손을 씻는 것이 기본이다. ‘보’ 보관온도 지키기, 냉장식품은 5℃이하 냉동식품은 –18℃이하를 지켜서 보관해야한다.
‘구’ 구분사용하기, 날음식과 조리식품은 구분하고 도마나 칼도 구분해서서야 교차오염을 막을수 있다. ‘가’ 가열하기, 육류 중심온도 중심온도 75℃에서 1분이상 충분히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세’ 세척·소독하기! 식재료와 조리기구는 깨끗이 세척하고 소독하기 이다.
다섯가지 식중독 예방수칙만 항상 기억한다면 여름철 식중독에서 우리모두 건강한 여름을 보낼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사전예방을 위한 식중독 신속검사차량 지속적 운행하고 식중독 예방수칙과 실천을 손쉽게 따라할 수 있는 홍보 자료를 마련하여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