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해외직구를 통해 국내에 유통된 방향제·세정제 등 생활화학제품 5개 중 1개꼴로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조지연 의원(경북 경산)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해외직구 생활화학제품 가운데 '함유 금지' 또는 '함유 제한' 물질이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의 비율이 22%(531개 제품 중 117개)에 달했다.
해외직구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조사가 처음 시작된 지난해 부적합률(15%·400개 제품 중 60개)보다 7%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최근 2년간 평균 부적합률은 19%(931개 제품 중 177개)였다.
품목별로 보면 방향제가 64건(36.2%)으로 가장 많았고 미용 접착제(19건·10.7%), 광택 코팅제(11건·6.2%), 탈취제(8건·4.5%), 세정제(6건·3.4%)가 뒤를 이었다.
검출 물질별로는 가습기 살균제의 주원료로 국내 사용이 금지된 CMIT(클로로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MIT(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가 함께 검출된 사례가 56건(31.6%)으로 가장 많았다. 이외 MIT 단독 검출(19건·10.7%), 톨루엔(17건·9.6%), 메틸메타크릴레이트·폼알데하이드(각 10건·5.6%) 등의 순이었다.
조 의원은 "생활화학제품은 우리 일상과 밀접한 만큼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해외직구를 통해 유입되는 제품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과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