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라이프 스타일

"간단한 혈액검사로 10년 간질환 위험 88% 예측"

스웨덴 연구팀 "간경변·간암 위험 높은 사람 조기 진단·치료에 활용"

나이와 성별, 그리고 정기 건강검진에서 흔히 측정되는 세 가지 간 효소 수치(AST, ALT, GGT)를 이용해 10년 안에 간경변과 관련 합병증에 걸릴 위험을 88% 정확도로 예측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한네스 하그스트룀 교수팀은 최근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톡홀름 거주자 48만여명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검진 지표와 간질환 위험 간 관계를 추적해 간경변 위험을 예측하는 도구(CORE:Cirrhosis Outcome Risk Estimator)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CORE는 간단한 혈액 분석으로 향후 10년간 중증 간질환 발생 위험을 88%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며 이 방법은 이미 1차 진료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어 간경변이나 간암을 더 일찍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1985~1996년 건강검진을 받은 스톡홀름 거주자 48만651명의 데이터를 이용해 나이, 성별, 간 효소 수치(AST, ALT, GGT), 혈소판, 알부민, 혈당 등과 간경변, 간암, 간부전 등 주요 간 질환(MALO) 간 관계를 최대 30년간 추적했다.

 

그 결과 전체의 1.5%(7천168명)가 추적 기간에 간경변과 간암 같은 중증 간질환을 앓거나 간이식이 필요한 경우는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건강검진에서 측정된 각종 지표와 주요 간 질환의 연관성을 분석, 나이와 성별, 간 효소 수치(AST, ALT, GGT) 등 5가지를 변수로 한 간경변 위험 예측 도구(CORE)를 만들었다.

 

이어 CORE를 간 질환 병력이 없는 2만4천191명(핀란드 FINRISK + Health2000)과 44만9천806명(영국 바이오뱅크)에 적용해 예측 정확도를 검증했다.

 

그 결과 CORE의 10년 내 간경변 및 관련 합병증 위험 예측 정확도는 8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임상에서 간 섬유화 진단법으로 권장되는 'FIB-4'의 정확도(78~80%)를 넘어선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 예측 도구를 의사와 간호사가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www.core-model.com)에 공개했다.

 

하그스트룀 교수는 "FIB-4는 일반 인구집단에는 적합하지 않고, 중증 간질환의 미래 위험을 예측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며 "지금까지 1차 진료에서는 중증 간질환 위험을 제때 감지할 수 있는 도구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예측 도구는 1차 진료에서 간질환 위험을 조기에 검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진전"이라며 "이는 간경변이나 간암 같은 간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치료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