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의 행정통합을 위한 입법 절차가 본격화됐다.
30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은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장동혁 의원 등 국민의힘 의원 45명이 공동발의에 참여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특별법안은 '대한민국 경제과학수도 대전충남특별시'라는 비전을 내세우며 각종 특례 조항을 담은 296개 조문과 부칙으로 구성됐다.
대전과 충남이 생활권·경제권·교통망을 사실상 공유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해 행정체계 통합과 지방분권 강화, 신성장동력 확보를 목표로 내세웠다.
주요 내용은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운영, 자치권 강화, 경제과학수도 조성, 대전충남특별시민의 삶의 질 제고 등을 담고 있다.
두 시도는 특별법안이 연내 국회를 통과해 내년 7월 대전충남특별시가 공식 출범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여야 정치권의 지원도 요청할 방침이다.
이장우 시장은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및 충청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통합은 시대적인 소명"이라며 "대전과 충남의 행정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개편이 아니라 국토 균형발전과 대한민국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새로운 도전"이라고 강조했다.
김태흠 지사는 "대한민국 균형발전과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서는 지역국가 수준의 자율성과 재정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대전과 충남이 하나로 통합되면 단숨에 세계 60위권 도시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논의는 지난해 11월 두 시도와 시도의회가 '통합 지방자치단체' 출범을 선언하면서 본격화됐다.
1989년 대전시가 직할시로 분리된 이후 35년 만의 재통합 시도다.
두 시도는 통합 선언 직후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를 꾸리고 올 1월에는 '대한민국 경제과학수도 대전충남특별시'라는 중장기 비전을 공식화했다.
이후 대전 5개 자치구와 충남 15개 시군을 돌며 주민설명회를 열었고, 지난 7월에는 296개 조문으로 구성된 특별법안 초안을 확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