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2000년대 초 정부가 남북통일과 민족화합을 염원하며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 내에 조성한 '밀레니엄숲'이 예산과 관심 부족으로 방치되고 있다.
밀레니엄숲 내부에 설치된 '통일 열차'는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부식되거나 변색한 채 흉물로 남겨져 있다.
24일 독립기념관과 천안시 등에 따르면 김대중 정부는 2000∼2003년 독립기념관 내 5.5㏊에 한반도 모형을 한 밀레니엄숲을 조성했다.
민족의 화합, 통일과 안정·번영을 상징하는 숲을 조성한다는 취지였다.
밀레니엄숲은 '단풍나무길' 끝자락 '조선총독부 철거 부재 전시공원' 위쪽에 조성됐다.
2000년 4월 5일 제55회 식목일에 이뤄진 기념식수에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휘호 여사를 포함해 300여명이 참석했다.
이곳에는 함경도와 경상도 등 전국 팔도의 상징 수목 45종, 2만3천696그루와 32종 1만4천200본의 우리 꽃이 심어졌다. 밀레니엄숲 내부 백두대간에 420m 길이의 철도 레일을 설치하고 통일 열차를 전시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이 숲은 서서히 잊혀 갔다. 이곳의 존재를 알리는 것은 독립기념관 리플릿이 전부였고, 숲을 안내하는 별도 표지판은 찾아볼 수 없다.
이곳에 있는 통일 열차의 보존 상태도 심각한 수준이다. 기관차 1량에 객차 2량이 연결된 열차는 현재 심각한 부식으로 외부 도색이 벗겨진 상태다.
객차의 일부 유리창마저 깨진 상태였으며, 내부에는 먼지가 오랜 기간 쌓여 방치됐다.
방치된 열차는 관람객들의 민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로 유리창이 깨져 있다는 민원이 기념관 측에 접수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독립기념관 관계자는 "처음 숲이 조성되고 몇 년간은 관리가 이뤄졌는데 어느 때부터 관련 예산이 줄면서 현재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며 "현재 유지관리 예산은 관람객 주 동선을 우선으로 하는 실정이며 철거나 폐기처분까지 검토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어 "열차 관리에 필요한 예산은 3천만원가량"이라며 "예산만 지원되면 제대로 보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