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올해 김장철을 맞아 전통시장에서 김장 비용을 구매할 때 드는 비용이 4인 가족 기준 33만8천원으로 작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추산됐다.
무와 대파, 천일염 등 가격은 작년보다 내렸으나 배춧값은 가을 장마·병해로 김장용 물량 출하가 늦어지면서 현재 오른 상태다. 그러나 점차 배추 공급량이 늘고 정부 지원까지 더해져 김장비용은 갈수록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부지방의 김장 시기로는 이달 하순에서 다음 달 초가 가장 좋은 시기로 꼽혔다.

16일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김장재료(4인 기준)를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비용은 33만8천500원, 대형마트는 40만4천280원으로 각각 작년보다 2.1%와 1.2% 증가했다.
전통시장 기준으로 배추(20포기) 가격이 지난해 10만원에서 올해 12만원으로 20.0% 올랐다.
총각무(3단)는 1만5천원으로 11.1% 올랐고 쪽파(2단)는 20.0% 오른 2만4천원이다. 생강(800g)은 8천원으로 14.3% 올랐고 멸치액젓(1㎏)도 6천500원으로 8.33% 상승했다.
반면 작황이 좋은 무(10개) 가격이 지난해 3만원에서 올해 2만원으로 33.3%, 대파(2단)는 6천원에서 5천원으로 16.7% 각각 내렸다. 천일염(5㎏)은 1만원에서 6천원으로, 새우젓(1㎏)은 2만원에서 1만5천원으로 각각 40.0%와 25.0% 저렴해졌다.
태양초 고춧가루(3㎏)는 9만5천원, 깐마늘(2.4㎏)은 2만4천원으로 각각 작년과 가격이 같다.
물가정보는 현재 김장용 배추 가격이 강세를 보이지만 무·소금 등 가격이 하락세를 나타내 전체 김장비용은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장용 배추는 45일 정도 키워서 소비하는 일반 배추와 달리 60∼70일간 자라 수분이 빠지고 속이 더 차오른 배추를 쓴다.
가을장마 때문에 배춧속이 아직 다 차오르지 못하고 수분이 많아 김장용으로 적합한 물량이 적어 현재 배추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물가정보는 파악했다.
시간이 지나면 김장용 배추 출하량이 늘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추석 연휴부터 이어진 강우로 무름병 등 병해가 확산해 배추 수급 차질을 우려했으나 재배면적 확대로 가을배추 생산량은 120만t(톤)으로 작년보다 3.2%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김장비용 중 배추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고춧가루는 작황이 좋아 공급이 원활하며 정부 비축 물량 공급까지 더해져 가격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동훈 물가정보 팀장은 "김장용 배추 품질이 충분히 좋아지고 김장에 적합한 온도가 될 때까지 기다려 2주가량 늦게 김장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그는 "김장비용도 상품성 좋은 배추 출하량이 늘면서 점차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장 적정 시기는 일 평균 기온이 4도 이하, 일 최저기온이 0도 이하로 유지될 때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1월은 평년보다 기온이 높고, 12월과 1월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중부지방(서울·경기·충청)은 11월 하순에서 12월 초, 남부지방(전라·경상)은 12월 초에서 중순, 해안과 남해안 지역은 12월 중순 이후가 각각 김장 적기라고 물가정보는 추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