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지난해 총임산물 생산액이 7조3천785억원으로 전년(7조1천298억원)보다 3.5%(2천487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 임산물 생산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품목별로 보면 순임목(1년 동안 산에서 자란 나무의 양)이 2조9천528억원으로 전년 대비 8.6% 늘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자연석·쇄골재용 등 토석류는 5.0% 증가한 1조4천188억원으로 나타났다.
단기소득임산물의 경우 오미자·마 등 약용식물과 복분자딸기·감 등 수실류는 각각 3.8%, 3.5% 증가했지만 산나물(-9.3%)과 버섯류(-4.1%) 생산이 줄면서 전체 생산액이 2조4천571억원으로, 전년(2조4천706억원)보다 0.5%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북이 1조3천866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강원이 1조3천5억원, 경남 9천556억원, 전남 8천195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임산물 생산조사는 1976년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됐다. 수실류, 약용식물, 산나물 등의 단기소득임산물과 순임목, 용재, 토석류 등을 포함한 14종 145개 품목 임산물의 생산량과 생산액을 조사해 지역별 임산물 수급 정책과 임업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