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대전시가 서북부 지역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 외삼∼유성복합터미널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연결도로를 임시 개통하고, 구암교차로를 입체화하는 등 대규모 구조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29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0월 1일 외삼∼장대교차로∼박산로 BRT 연결도로 5.8㎞ 구간이 임시 개통된다.
외삼∼월드컵네거리∼장대교차로 4.9㎞ 구간은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운영된다. 정시성 확보를 위해 M1·119번 버스가 우선 투입되며 향후 B2·B4·123번도 순차적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대형 승합차와 36인승 미만 사업용 승합차, 16인승 이상 통학·통근 차량도 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있다.
장대교차로∼박산로 0.8㎞ 구간은 중·소형 차량 위주(높이제한 3.0m)로 통행시켜 서북부 지역 교통 혼잡을 일부 해소한다.
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으로 인한 혼잡을 줄이기 위해 침신대네거리 교통섬을 축소해 양방향 좌회전 및 세종 방향 직진차로를 확충하고, 반석네거리 세종 방향 횡단보도 철거를 통해 신호주기를 약 30초 추가 확보하는 등 보완 대책을 병행한다.
반석네거리 횡단보도 철거와 관련한 교통 시뮬레이션 결과, 외삼네거리∼반석네거리 구간 교통 서비스 수준은 '혼잡이 심각한 상태(FF등급)'에서 교통량이 적은 상태의 F등급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근 시간 지체는 20%, 퇴근 시간 지체는 35%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시는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호남고속도로 지선 통과 구간에 지하차도 건설(1구간)과 구암교차로 입체화(2구간)를 병행 추진한다.
구암교차로 구간은 BRT 연결도로가 완전히 개통되면 하루 8천여대의 차량이 통행할 예정으로, 현재 교통량 대비 70%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둔산 방면 900m 구간에 초등학교 등 어린이 보호구역이 밀집해 있어 교통안전 차원에서도 입체화는 필수적이라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2구간은 죽동2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과 연계해 구체적 추진 방안을 확정할 계획으로, 내년 5월까지 타당성 조사를 마칠 방침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유성나들목에서 장대교차로, 구암교네거리, 구암역삼거리로 이어지는 구간은 대전 서북부 교통의 가장 큰 병목 지점"이라며 "이번 구조개선 사업은 유성 체류 차량과 둔산 도심권 통과 수요를 분산시켜 교통체계 전반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