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4 (일)

  • 흐림동두천 7.4℃
  • 흐림강릉 5.9℃
  • 구름많음서울 10.9℃
  • 흐림대전 11.0℃
  • 흐림대구 11.1℃
  • 흐림울산 10.6℃
  • 광주 12.7℃
  • 흐림부산 12.3℃
  • 흐림고창 10.9℃
  • 흐림제주 15.6℃
  • 구름많음강화 8.7℃
  • 흐림보은 7.7℃
  • 흐림금산 11.1℃
  • 흐림강진군 14.4℃
  • 흐림경주시 10.4℃
  • 흐림거제 12.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오피니언

[보검스님 칼럼] 추석명절에 생각해보는 화수회 와 패밀리 트리

문화투데이 칼럼

 

추석명절이 다가오고 있다.

 

누구나 어릴 때의 추석명절은 잊혀 지지 않을 것이다.

 

지금이야 추석 명절이라고 해봐야 공휴일이라는 이상의 개념이 아니겠지만, 적어도 ‘70년대 이전 까지는 누구나 고향을 찾아가서 정답고 그리운 부모형제들을 만나서 오순도순 피붙이의 정을 나누는 것이 추석명절의 우리네 풍습이었다.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한다.

 

우리 민족의 명절 가운데 설날과 더불어 최고의 명절로 여겨왔다.

 

추석은 우리나라가 농경사회였던 시기에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연중 최대 명절로 자리 잡은 것이 아닌가 하는데, 추석의 다른 이름만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가배일(嘉俳日), 한가위, 팔 월 대보름 등이 있다.

 

가을 추수를 끝내기 전에 덜 익은 쌀로 만든 별미 송편과 햇과일을 진설하고 조상들께 감사의 마음으로 차례를 지내는데, 옛날 같으면 일가친척이 고향에 모여 함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전통이 있었다.

 

추석이 오면 전 국민의 75%가 고향을 방문하여 전국의 고속도로가 정체되고 열차표가 매진되는 현상이 벌어지면서 흔히 '민족대이동'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젠 이런 추석 풍경과 이동도 점점 희미해지고 있을 뿐 아니라 언제 추석이 지나갔는지조차 모를 정도로 얼른 지나가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런 세태는 도회지에서 살아가는 산업사회에서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인의 자화상이 아닐까 한다.

 

추석명절이 혈육들의 끈끈한 정을 나누는 만남이며 조상들에게 감사의 차례(茶禮)를 지내는 조상숭배와 효 문화의 또 다른 모습이 아니겠는가.

 

화수회(花樹會)는 일가친척이란 성(姓)을 같이하는 친족 집단의 모임인데, 종친회(宗親會)와 같은 의미이다.

 

요즘 세대에는 낯설지마는 족회(族會)란 명칭과 씨족회(氏族會), 종회(宗會), 종약소(宗約所), 종문회(宗門會), 종친회(宗親會), 숭조회(崇祖會), 대종회(大宗會) 등등의 이름이 있다.

 

추석이나 설날에 가족이 모이면 족보(族譜)를 새로 만든다는 등의 이야기도 듣게 되고 시제(時祭)이야기 조상 산소 이야기 등이 자연스럽게 거론되곤 한다.

 

못난 자식 종산 지킨다는 말도 있는데, 부동산 급등으로 종산(宗山)이나 지키던 착한 후손들은 대박을 터트리기도 한다.

 

도회지에 나아가서 평생 월급 모아서 집이나 한 채 살 가 말 가 인데, 시골 고향 땅 값이 오른 덕분에 갑자기 부자가 되는 세상이 되고 보니, 이런 풍경도 벌어지는 것이다.

 

서양 사람들은 패밀리 트리(family tree)라고 하는데, 가계도 정도의 뜻을 갖는다.

 

우리나라화수회처럼 가계의 범위가 넓지 않은 것 같다.

 

그런데 요즘 우리나라도 화수회의 친족 개념이 점점 약해지면서 직계 가족중심의 핵가족화로 변화하면서 효(孝) 문화도 점점 퇴색해 가고 있다.

 

사촌도 멀어지고 직계 가족마저도 혈육의 정이 얇아져 가는 것이 우리네 인심이다.

 

이러다간 가까운 친척이 누군지도 모르고 험악하게 부딪치는 일마저 생길까 두렵다.

 

인도 같은 사회에서는 몇 대가 함께 사는 가계가 많은 것을 봤다.

 

하기야 그런 나라들도 산업화를 겪으면서는 어쩔 수 없이 변화하겠지만 참으로 세상은 화살처럼 빠르게 지나간다.

 

올해 추석명절은 그나마 코로나19로 쓸쓸하게 지나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반려견과 추석 명절을 보내는 우리네 사회 세태가 어느 새 서양풍속을 닮아 버렸다.

 

일본이나 서양 세태를 계속 닮아서 사회가 진화해가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우리네 특유의 풍습과 전통을 지키면서 고유성을 유지하는 것이 우리 문화가 생존해가는 비결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