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한식당 비중 계속 감소…한식 사업자 1년 새 2천명 줄어

배달 어렵고 재료 가짓수 많아 식재료값 상승 타격 커
한식도 프랜차이즈 흐름…한식 가맹점 증가 두드러져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K팝과 K드라마의 인기로 전 세계적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해외에서 한식당이 늘어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반면 국내에서는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주변에서 한식당이 사라지고 있어 아쉽다는 글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여전히 한식당은 우리나라 음식점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중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대신 서양식이나 일식, 중식, 패스트푸드 등의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 개인이 운영하는 동네 밥집이 대부분이었던 한식당도 이제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늘어나고 있다.

 

실제 한식당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 그리고 한식당이 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살펴봤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외식업체 경영실태조사'(2024)에 따르면 한식당 비중은 2018년 45.6%에서 2019년 45.0%, 2020년 44.2%, 2021년 43.6%, 2022년 42.9%, 2023년 42.6%, 2024년 41.8% 등으로 매년 감소세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3년 내로 이 한식업종 비율은 30%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한식이 빠진 자리는 일식, 서양식, 중식과 함께 피자·햄버거·샌드위치나 치킨점 등이 채우고 있다.

 

전체 외식업체에서 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1.5%에서 지난해 2.6%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서양식과 중식은 각각 1.7%에서 2.4%, 3.5%에서 3.9%로 늘었다.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은 2.4%에서 3.5%로, 치킨전문점은 4.9%에서 5.2%로 각각 확대됐다.

 

한식당의 감소세는 다른 정부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의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 전국 한식당 사업자 수는 41만429명으로 지난해 5월(41만2천662명) 대비 2천233명 줄었으며 올해 4월(41만498명)보다는 69명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일식당 사업자 수는 2만3천258명으로, 작년 5월(2만2천899명)은 물론 올해 4월(2만3천236명)보다도 늘어난 것과는 대조적인 흐름이다.

 

외식업 종사자들은 이런 한식당 감소세가 오래전부터 시작됐다고 말한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한차례 타격을 입은 한식당들이 최근에는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감소, 배달 외식 증가, 재료비 상승 등과 같은 삼중고로 그 어느 때보다 큰 경영난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기성 목원대 외식조리·제과제빵학과 교수는 "한식당은 개인이 소규모로 하는 대중식당인 경우가 많은데 경기 침체로 소비가 줄면 고급 식당이나 서양식당이 아닌 이런 대중식당부터 타격을 입는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같은 한식당이어도 한우 고깃집같이 가격대가 높은 곳은 괜찮은 편이나 된장찌개, 김치찌개를 1만원 정도에 파는 식당은 편의점과도 소비층이 겹치는 실정"이라며 "한식당을 운영하는 분들이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시기보다 지금이 더 힘들다고들 한다"고 전했다.

 

배달 문화 확산과 더불어 배달료 상승도 한식당에 큰 타격이 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한국외식산업협회 관계자는 "족발이나 찌개류 외 다른 한식은 배달 선호가 떨어지는데 배달 수수료는 높다 보니 한식당들이 배달을 기피하고, 그렇다 보니 수익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일어난다"면서 "현 구조에선 피자, 햄버거 같은 프랜차이즈 업체들만 이런 배달 수수료를 내고도 버틸 여력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외식업체 경영실태 조사를 보면 '1일 평균 배달 수' 질문 항목에 대해 한식당 74.7%가 "없다"고 답했다.

 

이는 한식·일식·중식·서양식 등 전체 일반음식점 업종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배달 앱 이용 여부에 대해서도 78.4%가 "이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또한 전 업종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의 경우 85.1%가 배달앱을 이용한다고 답했다.

 

급등한 식자재값도 한식당의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같은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한 '수익성·생산성 분석'에서 한식당의 매출 대비 식재료 및 인건비 비율은 71.1%로 평균(69.8%)을 웃돌았다.

 

45년째 영업하는 서울 종로구의 한 한정식 전문 식당 운영자는 "최근 2~3년 새 재룟값이 2배 이상 오른 것 같다"면서 "한식은 농수산물 재료가 워낙 다양하고 많이 들어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최소한으로 가격을 올리면서 버티지만 수지가 안 맞으니 주변의 한정식집들이 자꾸 없어지고 있다"라면서 "남은 곳도 한그릇 음식 같이 재료가 적게 드는 쪽으로 메뉴를 바꾸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삼중고' 경영난 속에서 한식당이 줄어드는 상황과 맞물려 다른 한쪽에서는 한식당의 프랜차이즈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모습이다.

 

한식당은 이제 개인이 운영하는 형태로는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판단 속에 새로 창업하는 사람들이 자체 식당을 운영하기보다는 본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프랜차이즈를 택하고 있어서다.

 

외식업체 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한식당의 프랜차이즈 비중은 2018년 22.7% 수준에서 지난해는 26.2%를 기록했다.

 

또 전체적으로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는 감소세지만 한식 가맹점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4월 발표한 '2024년도 가맹산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외식업종의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는 9천873개로 전년(9천934개) 대비 0.6% 감소했다. 그러나 한식업종 브랜드 수는 전년(3천556개) 대비 4.1% 증가한 3천701개로 집계됐다.

 

또한 전체 외식업종의 가맹점 수는 전년 대비 0.6%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한식업 가맹점 수는 3.7% 늘어나며 4만1천353개를 기록했다.

 

김종백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정책홍보팀장은 "한식당이 어렵다고 하나 프랜차이즈업계에선 한식이 치킨, 커피와 더불어 3대 업종으로 꼽힌다"면서 "개인이 본사 지원 없이 혼자 트렌드를 따라가며 메뉴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 보니 이제는 한식도 프랜차이즈로 많이 한다"고 말했다.

 

일선에서는 새로운 한식 요리사를 찾기도 어렵다고 말한다.

 

종로구의 한정식 식당 운영자는 "과거에는 한식 전문 조리사 모임이 있을 정도로 한식을 전문으로 하는 분들도 많았고 고급 음식 대접을 받았지만, 그런 분들은 은퇴하고 새로 하는 사람들은 다른 음식을 해 요리사 찾기도 쉬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