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세종시가 공공청사 실수요 전력 관리를 소홀히하면서 연간 3억원가량의 예산이 수년간 줄줄 샌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세종시에 따르면 관내 공공청사 103곳 가운데 절반이 넘는 53곳이 실제 사용한 것보다 수억원이 많은 전기요금을 한국전력공사(한전)에 납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은 통상적으로 설비 안전 등을 위해 한전과 계약전력 공급 계약을 맺는데,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대신 계약전력의 최소 30%가 기본요금 기준전력으로 책정된다
문제는 세종시 공공청사 실수요 전력에 비해 계약전력이 너무 높게 책정돼 있다는 데 있다.
가령, 2019년 준공한 세종시 보건환경연구원청사는 부지 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규모 등을 고려해 950㎾(고압전력 기준)에 맞춰 한전과 전력 공급계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계약전력의 약 30%인 284㎾가 기본요금 기준 전력으로 설정됐다.
그러나 연구원 청사의 실수요 전력은 최근 3년 월평균 205㎾(최대 250㎾)에 불과했다.
수년간 공공청사를 운영하면서 실제 수요 전력이 계약전력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데이터가 쌓였지만, 누구 하나 여기에 관심 두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준공 당시 책정된 계약전력에 맞춰 높은 단가의 기본요금을 매달 기계적으로 납부해왔다.
시 감사위원회가 지난 5월 이런 문제를 파악하고 한전과 협의해 보건환경연구원의 계약전력을 950㎾에서 550㎾로 축소, 기본요금 기준 전력은 165㎾로 낮췄다.
그 결과 매월 30여만원의 전기 요금을 절약했고 연간 400여만원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위원회가 관내 시청 관련 공공청사 103곳의 실태를 모두 살펴봤더니 다른 52개 공공청사에서도 계약전력이 과도하게 설정돼 있었다.
53개 공공청사의 계약전력을 최적화해 매달 1천527만원, 연간 3억33만5천40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감사위원회는 전망했다.
세종시는 공공청사 계약전력을 최적화하고, 실제 전기 사용 데이터를 토대로 매년 계약전력 적정성을 평가해 전기요금이 과다 지출되는 것을 차단하기로 했다.
연간 3억원가량의 전기요금을 절감한 감사위원회의 공공청사 계약전력 적정성 평가 업무는 올해 하반기 세종시 적극행정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감사위원회 측은 "실태조사를 해보니 관내 공공청사에서 실수요 전력과 관계없이 계약전력을 준공당시 책정한 950㎾로 설정해둔 걸 확인했다. 전기요금을 아끼기 위해 가능한 범위에서 청사 계약전력을 조정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