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올해 쌀 생산량이 약 354만t으로 작년보다 4만t 가량 줄면서 역대 두 번째로 적었다. 벼 재배면적은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소였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13일 발표한 '2025년 쌀 재배면적(확정) 및 농작물생산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53만9천t으로, 작년보다 1.3% 감소했다.
쌀 생산량은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2020년 350만7천t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생산량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재배면적 축소로 분석된다. 올해 재배면적은 67만8천ha(헥타르)로 작년보다 2.9% 감소하며 역대 가장 적었다.
이는 쌀 수급 균형을 위한 정부의 적정생산 정책 추진 등에 따른 영향으로 알려졌다.
다만 단위면적당 생산성은 향상됐다. 10a(아르)당 생산량은 522㎏으로 작년보다 1.7% 증가했다.
생육 전반의 기상 여건이 작년보다 양호했고, 병충해 피해 비율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데이터처는 지난달 발표한 예상치(-0.3%)보다 쌀 생산량 감소 폭이 늘어난 것을 두고 "비가 자주 내리고 깨씨무늬병 등 병충해 피해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시도별 쌀 생산량은 충남(69만 4천t), 전남(68만 7천t), 전북(54만 3천t)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