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정부가 국내 수산물의 산지 거점 유통센터(FPC)와 소비자 분산 물류센터(FDC)를 활성화해 유통비용을 10% 줄이기로 했다. 또 대도시권 소비지에 수산물 전문 직매장을 신설하고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품목도 확대한다.
해수부는 4일 이런 내용이 골자로 담긴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개선방안에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이익을 누리는 신뢰 기반의 유통체계 구축'을 위해 유통 비용 10% 절감, 주요 수산물 가격 변동성 25% 축소 등을 목표로 정하고 4대 추진 방향과 8대 추진 과제를 담았다.
개선방안에 따르면 앞으로 수산물 유통경로는 현재 생산자(어업인)→산지 위판장→산지 중도매인→소비지 도매시장→소비지 중도매인→소매상 등의 6단계에서 점차 '생산자→산지 거점 유통센터(FPC)→소비자 분산 물류센터(FDC)→소매상'의 4단계로 줄어들게 된다.
FPC는 각 산지에서 수산물을 사들여 물량이 모이면 한 번에 위판·가공·유통하는 시설이다. 이곳에서 가공된 수산물은 물류센터인 FDC로 옮겨져 전국으로 공급되는 구조로 유통경로가 간소화된다.
최현호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위판장과 도매시장을 거치는 전통적인 유통경로는 이동과 대기에 시간과 비용이 들어 유통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전국 FPC 16곳과 FDC 2곳을 활용해 유통경로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겠다"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오징어와 갈치, 전복 등 주요 수산물 10종의 유통 비용률을 작년 63.5%에서 57.15%까지 낮추는 목표를 세웠다. 유통 비용률은 최종 소비자가격에서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해수부는 또 유통경로가 단순한 온라인 도매시장의 거래 품목을 60개에서 134개로 늘리기로 했다.
온라인 도매시장 판매자 가입 조건에서 '연간 거래액 20억원 이상' 요건을 삭제하고 '구매자' 자격으로만 가능한 산지 중도매인은 '판매자' 자격으로도 가입할 수 있도록 완화하기로 했다.
최 실장은 "직접 보고 살 수 없는 온라인 시장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수산물 등급 판별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중성 어종을 중심으로 내년 중에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수부는 또 어업인이 조업 후 귀항하면서 모바일 기기로 위판할 수 있도록 온라인 위판(전자 경매)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대도시권 소비지에 수산물 전문 직매장을 설치해 소비자가 직접 가격이 저렴한 수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또 기후변화로 인한 수급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고등어와 갈치, 오징어, 명태, 참조기, 마른 멸치 등 주요 어획 어종 6종과 김, 굴, 전복, 광어 등 주요 양식 어종 4종의 수급 예측 모형을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고수온에 대응해 양식품종을 바꾸거나 양식지를 이동하고, 종자시설의 스마트·자동화도 추진한다.
해수부는 도매시장의 물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주요 도매시장부터 전자송품장을 시범 운영한다.
전자송품장은 수기로 작성하던 수산물 등의 출하와 품목, 차량 운송 정보 등을 디지털로 작성한 것으로 출하 일정과 물량, 배송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해수부는 오는 2027년 가락시장에 전자송품장을 시범 도입해 위판 물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가격의 급등락을 방지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해수부는 유통과정의 투명성을 위해 '지속 가능한 연근해어업 발전법'을 제정해 어획 증명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또 대형 유통사와 양식장의 수산물 이력제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개정을 추진한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이번 대책은 수산물 유통의 미래를 바꾸는 첫걸음"이라며 "합리적인 가격 형성과 신뢰받는 유통환경 조성을 위해 이번 방안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