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이 29일 시작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부처별로 흩어져 진행하던 소비촉진 행사를 하나로 묶어 국민이 할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이날부터 다음 달 9일까지 12일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페스티벌은 중기부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10개 부처가 공동 추진하며 80개 유통채널과 3만7천여개 기업이 참여한다.
◇ 자동차·전자제품 할인에 배달쿠폰도…유통사 총출동
페스티벌 기간에는 김장재료와 한우 등 식재료는 물론, 편의점 도시락 등 먹거리도 싸게 구입할 수 있다.
김장철 맞이 농산물 할인전은 최대 40%, '대한민국 한우 먹는 날' 할인전은 최대 50% 각각 할인해준다. 수산물 판촉·시식 행사도 마련돼 있다.
CJ제일제당과 동서식품, 롯데웰푸드 등 식음료 업체 12개사는 네이버와 함께 라면, 우유, 음료수, 즉석식품, 커피믹스 등 인기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온라인 타임세일을 진행한다.
CU와 GS25,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5개사는 4천∼6천원대 도시락을 할인 판매하고 호빵과 군고구마 등 겨울철 간식도 50% 할인하거나 투플러스원(2+1)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자동차와 가전제품도 싸게 구매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현대·기아차, KG모빌리티, 르노코리아 등 완성차 5개사는 다음 달 1일부터 중형 세단,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인기 차종에 연중 최고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삼성·LG전자와 함께 신일전자, 위닉스, 쿠첸 등 중소중견 가전사가 할인전을 연다. TV와 냉장고, 전기밥솥 등 으뜸효율 가전 11종은 정부 10% 구매비용 환급까지 더해져 할인 폭이 더 크다.
배달도 할인받을 수 있다. 공공 배달앱인 '땡겨요', '먹깨비' 등은 2만원 이상 주문 시 5천원 즉시 할인 쿠폰을, '배달의민족'은 픽업 할인 쿠폰과 B마트 할인 프로모션을 각각 제공한다.
대형마트, 백화점, 홈쇼핑 등 유통업계도 할인 혜택을 쏟아낸다.
이마트와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는 제철 신선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제빵, 생활용품 분야 다양한 할인전을 펼친다.
백화점 5개사도 한섬, 삼성물산 등과 협업해 인기 의류 할인전을 연다. F&B(식음료) 특별할인과 와인위크 등도 준비돼 있다.
공영홈쇼핑, 홈앤쇼핑 등 8개 TV 홈쇼핑사는 상생기획전을 운영하고 경품 증정, 결제 적립을 비롯한 특별 프로모션 방송을 편성한다.
쿠팡, 네이버, 지마켓 등 온라인 쇼핑몰은 타임딜, 단독딜 기획전 등을 통해 중소기업·소상공인 제품을 최대 반값에 판매한다.
특히 네이버와 쿠팡은 소상공인 대표 우수상품 '톱(TOP) 100 기획전'에서 20% 추가 할인 쿠폰을 지원해 최대 70% 할인해준다.
◇ 지역상품권·카드사 할인·적립…외국인관광객 면세점 할인도
지역사랑상품권의 할인율을 기존보다 5%포인트 높였다. 인구감소지역에선 최대 20%, 비수도권은 18%, 수도권도 15%의 할인 혜택을 각각 받을 수 있다. 디지털온누리상품권도 충전 시 10% 기본 할인에 더해 5∼15% 특별환급을 시행한다.
두 상품권 모두 비수도권과 인구감소지역에서 더 큰 폭으로 할인된다.
페스티벌 기간 20억원 규모의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소상공인 매장과 전통시장 카드 사용액 5만원당 복권 1장(1인당 최대 10장)을 제공한다. 상생페이백 제도도 병행돼 카드 사용액 증가분의 20%(최대 30만원)를 환급받을 수 있다.
신용·체크카드 사용 시 10% 청구할인과 10만원 이상 결제 시 경품 추첨, 포인트 적립과 사용 등 다양한 카드 특별혜택도 운영된다. 롯데와 BC, 삼성 등 9개 주요 카드사가 참여하며 카드사마다 혜택은 다르다.
전 국민이 즐기며 소비할 수 있도록 할인 혜택은 관광 분야까지 적용된다.
정부는 숙박상품 예약 때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최대 5만원) 87만 장도 발급한다. 철도·항공·버스·자가용 이용객을 위한 교통비 할인과 캠핑장·품질인증 숙소 할인 등도 적용된다.
4대 궁과 조선왕릉,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극장 등 주요 문화시설은 무료 개방되며 특별공연도 열린다.
서울·부산·대전·순천·춘천 등 전국 42개 지역에서 페스티벌 열기를 확산하기 위한 소상공인 판매전, 전통시장 야시장 등이 열린다.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전국 26개 면세점에서는 최대 50% 할인행사를 한다.
이베이와 쇼피 등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는 '코리아 스페셜 존' 역직구 특별전을 열어 한국제품을 최대 20% 할인한다.
CJ올리브영 등 국내 기업의 글로벌 자사몰에서도 최대 30% K-뷰티 할인전을 만나볼 수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이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중국의 광군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국가 단위 소비문화의 상징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요 혜택과 지역별 특별행사를 포함한 상세한 내용은 통합누리집(www.koreagrandfestival.kr' 또는 '코리아그랜드페스티벌.kr)과 카카오톡 플러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