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전시 국정감사에서는 12·3 비상계엄 당시 대전시의 대응 체계와 이장우 대전시장의 정치적 성향을 놓고 여야 의원들이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식(서울 강동구을) 의원은 "비상계엄 당일 긴급상황 유지와 관련해 행정안전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연락했지만, 청사로 출근하지 않은 광역지자체장은 대구시장과 대전시장밖에 없었다"며 "비상계엄 후 대전시장이 세이브코리아가 주최한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하는 등의 행동이 적절했는지 알고 싶다"고 질의했다.
같은 당 채현일(서울 영등포구갑) 의원도 "국가비상사태 때는 대응체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계엄 당시 시장이 집에 있었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며 "계엄 후 집회에 참석한다는 것은 탄핵에 반대하고 내란을 옹호한다는 메시지를 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국혁신당 정춘생(비례대표) 의원은 "(이 시장은) 국민의힘 시도지사 연석회의에 참석해 윤석열 대통령이 복귀해야 한다는 결의문을 낭독하는 등 불법 계엄 후 윤석열을 옹호하는 입장을 여러 차례 해왔다"며 "시민 입장에서 보면 수긍할 수 없는 내용이 많다"고 꼬집었다.
반면 국민의힘 고동진(서울 강남구병) 의원은 "내년 지방선거가 있기 때문에 계엄과 탄핵 관련해 여당 의원들이 질의하는 것은 100% 이해한다"면서도 "인천시장은 계엄 당일 나와서 뭐라 하고 대전시장은 안 나와서 뭐라 하는데 일관적으로 얘기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같은 당 박수민(서울 강남을) 의원도 "(이 시장은) 계엄에 대해 즉시 잘못된 일이라고 반대했고, 격변 속에서 절차적 통제에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된다"며 이 시장을 옹호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비상계엄을 정당하다고 표현하거나 옳다는 입장은 내지 않았다"면서도 "계엄 당일 집에서 직원들에게 보고받으며 특별한 일이 없다면 상황을 지켜보자고 이야기했고, 시장이 직접 나와서 회의를 여는 등 지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했다"고 답변했다.
또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서는 "지역 목사님들이 요청해 잠시 들렸던 것으로 큰 의미는 담지 않으면 좋겠다"며 "차후에도 여러 가지 상황이 있을 때 신중하게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