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채소·화훼·과수 등 신품종 연구개발을 위해 최근 5년간 1천억원 넘게 투입됐지만, 종자 국산화율은 제자리걸음을 걷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어기구(충남 당진) 의원이 농촌진흥청에서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농가에서 재배한 작물 종자의 국산화율은 35.2%였다.
2020년 34.0%보다 높아졌지만, 2023년 35.0%보다 낮아진 것이다.
특히 화훼 분야 국산화율이 낮았는데, 카네이션의 경우 2022년에는 2.7%라도 됐으나 지난해에는 국산 품종이 단 한 송이도 재배되지 않았다.
장미의 지난해 국산화율도 23.8%였고, 난 역시 15.2%에 불과했다.
이같이 낮은 국산화율에 우리 농가는 2020∼2024년 총 436억1천만원의 로열티를 해외에 지급했다.
이 기간 투입된 신품종 연구개발비는 1천267억원에 이른다.
어기구 의원은 "주요 화훼 수출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국내 종묘업체의 시장 경쟁력이 크게 약해지면서 종자 주권이 흔들리고 있다"며 "종자 산업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히는 만큼 국산 품종 개발이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와 연구개발의 내실화가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