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문화연예

부여 부소산성서 얼음 보관 창고 첫 확인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조사 성과…안전한 공사 위한 봉안물도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백제 사비 도읍기(538∼660)의 중심 산성이었던 부소산성에서 과거 얼음을 보관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설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부소산성 일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얼음을 넣어 두는 창고인 빙고(氷庫)를 추가로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부소산성은 백마강 남쪽 부소산을 감싸고 쌓은 산성 유적이다.

 

사비 백제의 후기 왕궁터로 알려진 관북리 유적 북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1981년부터 최근까지 17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를 진행해 다양한 건물터가 확인된 바 있다.

 

사비 도읍기 역사는 물론, 백제 성곽의 발달사를 보여주는 주요한 유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백제역사유적지구)에 등재됐다.

 

이번에 발견된 빙고 추정 시설은 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다.

 

동서 길이는 약 7m, 남북 너비는 약 8m이고 깊이는 2.5m에 이른다. 초기에는 암반을 파서 벽으로 쓰다가 이후 남쪽 벽에 돌을 세워 공간을 축소한 것으로 보인다.

 

바닥 중앙에는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든 흔적이 남아있다.

 

구덩이는 길이 230㎝, 너비 130㎝, 깊이 50㎝ 규모이며 빙고 안에서 발생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물 저장고로 추정된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사비 백제 유적에서는 앞서 얼음 창고가 발견된 바 있다.

 

국가유산청(당시 문화재청)은 지난 2015년 부여 백마강변 구드래 일원과 서나성 일대를 발굴 조사해 백제 시대 빙고와 조선 시대 빙고를 잇달아 찾았다.

 

그러나 부소산성 일대에서 빙고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소는 "빙고는 얼음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특수시설"이라며 "강력한 왕권과 국가 권력이 있어야만 구축·운영할 수 있었던 특별한 위계적 공간"이라고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건물을 짓기 전에 땅의 신에게 안전을 기원하고 나쁜 기운을 누르기 위해 묻는 지진구(地鎭具)로 추정되는 항아리도 발견돼 주목된다.

 

항아리는 직각 형태로 목이 짧으며, 그 위에 둥근 구슬 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뚜껑이 덮여 있었다. 내부에서는 오수전(五銖錢) 5점이 함께 나왔다.

 

오수전은 한가운데 네모난 구멍이 있는 원형 동전으로, 중국 한나라 무제가 다스리던 기원전 118년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당나라 때인 621년 폐지될 때까지 730여년간 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진구로 쓰인 것으로 여겨지는 항아리는 빙고와 가까운 곳에서 발견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주변 건물로는 빙고만 확인돼 과거 빙고의 성공적인 축조를 기원하기 위해 봉안된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이번에 확인한 빙고와 지진구의 정확한 연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그 결과는 부소산성의 성격과 역할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연구소는 이날 제18차 발굴 조사 시작을 알리는 개토제를 연다.

 

향후 조사에서는 조선시대에 군용 식량을 보관하던 창고 역할을 한 군창지(軍倉址) 서쪽 일대를 중점적으로 볼 예정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지난 17차 조사에서 발견된 건축물과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구역"이라며 "백제 사비기 왕궁터의 구체적 실체를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