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한국인의 라면 사랑…1인당 한해 79개 먹어 '세계 2위'

지난해 세계 라면 소비 '역대 최대' 1천231억개

 

[문화투데이 구재숙 기자] 한국인이 지난해 1인당 79개의 라면을 먹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베트남에 이은 세계 2위에 해당한다.

 

9일 세계인스턴트라면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라면 소비량은 41억개로 세계에서 8번째로 많았다.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천175만명이었다. 1인당 라면 79.2개를 먹은 셈이다.

 

한국의 1인당 라면 소비는 2021년 73개에서 3년 만에 6개 늘었다.

 

한국의 라면 소비량은 지난 2021년 37억9천만개에서 2022년 39억5천만개, 2023년 40억4천만개로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 소비량은 전년보다 1.4%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로 외식을 자제해 라면 수요가 급증했던 지난 2020년(41억3천만개)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한국은 지난 2020년까지 연간 1인당 라면 소비량 1위였으나 2021년부터는 베트남이 그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은 지난해 1인당 라면을 81개 소비했다. 베트남 인구 1억명이 라면 81억4천만개(4위)를 소비했다.

 

베트남은 라면 소비량이 감소하면서 인당 라면 소비 개수가 2021년 88개에서 3년 사이 7개 줄었다.

 

베트남과 한국에 이어 1인당 라면 소비가 많은 국가는 태국(57개), 네팔(54개), 인도네시아(52개), 일본(47개), 말레이시아(47개), 대만(40개), 필리핀(39개), 중국(홍콩 포함·31개) 순이다.

 

전통적으로 국수를 즐기는 식문화가 있는 아시아 국가들의 1인당 소비량이 월등히 높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럽에는 1인당 소비량이 10개도 되지 않는 나라도 많다.

 

라면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는 라면이 먹고 살기 어려운 시절부터 저렴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으로 시작됐지만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필리핀 같은 동남아에서는 라면이 간식이고 용량이 적어 1인당 소비 개수가 많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중량까지 고려해 1인당 라면 소비량을 따져보면 한국이 가장 많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세계 라면 소비량은 1천230억7천만개로 전년보다 2.4% 늘어 역대 최대 수준이다.

 

여러 나라에서 물가 상승으로 비교적 저렴한 식품인 라면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 최대 라면 시장은 중국·홍콩으로 지난해 소비량은 438억개다. 이는 한국의 10.7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인구 2억8천만명인 인도네시아가 143억7천만개로 2위이며, 지난 2023년 3위 시장으로 한 계단 올라선 인도는 83억2천만개로 베트남보다 2억개가량 많다.

 

그다음은 일본(59억개), 미국(51억5천만개), 필리핀(44억9천만개), 한국(41억개), 태국(40억8천만개), 나이지리아(30억개) 순이었다.

 

시장 규모가 큰 나라 중에서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의 라면 소비가 빠르게 늘고 있다.

 

아직 시장 규모는 작지만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지역에서도 라면 소비가 늘고 있다.

 

농심 신라면과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등 한국 라면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1∼9월 우리나라의 라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7% 늘어난 11억1천600만달러(약 1조6천억원)를 기록했다.

 

한 라면업체 관계자는 "K컬처의 영향력이 지속 확산하고 있어 한동안 한국 라면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라면 시장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