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국내 대형백화점 3사(롯데·현대·신세계)가 여전히 재고 부담을 납품업체에 떠넘기는 '특약매입' 거래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백화점 3사의 지난해 특약매입 거래 비중 평균은 59.9%로 나타났다.
특약매입은 백화점과 같은 유통업자가 일단 상품을 외상으로 받고, 실제 판매가 되면 이윤을 뺀 나머지 판매대금을 납품업체에 지급하는 거래방식이다.
백화점은 팔리지 않는 상품을 반품하면 재고 부담은 납품업체가 대부분 부담해야 하므로 갑질 거래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3사의 특약매입 거래 비중은 2021년 63.4%에서 2022년 62.5%, 2023년 61.4% 등 소폭 감소했을 뿐 여전히 전체 거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백화점별 특약매입 거래 비중은 현대가 62.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롯데가 61.6%, 신세계가 56.0%로 집계됐다.
최근 4년 평균 역시 현대가 64.7%로 가장 높았고, 롯데 63.4%, 신세계 57.3%로 파악됐다.
백화점 매출액은 같은 기간 증가세였다. 롯데는 2021년 10조4천537억원에서 2024년 11조6천148억원, 현대는 8조4천786억원에서 8조6천627억원, 신세계는 8조6천63억원에서 10조9천512억원으로 각각 올랐다. 3사 합계 평균 매출 증가율은 13.4%에 달했다.
백화점과는 달리 대형마트는 직접 재고 부담을 모두 지는 '직매입' 비중이 높아 대조를 이뤘다.
2021∼2024년 평균 직매입 비중은 이마트[139480]가 88.0%였고, 홈플러스 77.8%, 롯데마트 81.0%였다. 대형마트 3사의 평균 특약 매입 비중은 10.6%에 그쳤다.
이양수 의원은 "백화점들이 매출은 늘면서도 여전히 재고부담을 협력업체에 떠넘기는 것은 불공정 관행"이라며 "경기 불황과 비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 납품업체와 상생하려면 직매입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