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수입식품이 이물질 검출 등으로 판매 중지되더라도 실제 회수되는 비율이 13%에 불과했다.
일본산 식품은 회수율이 1%에도 못 미쳐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부적합 유통 수입식품에 대한 회수·폐기 조치 건수는 총 343건으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중국산 수입식품이 125건으로 전체 회수·폐기 조치건 중 3분의 1을 웃돌았고 미국 46건, 캐나다 31건, 베트남 25건 순이었다. 미얀마가 12건으로 뒤를 이었고 일본과 이탈리아(각각 11건), 태국(10건)도 10건을 웃돌았다.
회수·폐기 대상 수입식품의 수입량과 회수량을 비교했을 때 평균 회수율은 13%에 그쳤다.
회수율이 낮다는 것은 판매 중지된 제품이 국내에 그만큼 많이 유통됐다는 의미이다.
이들 8개국 중 회수율이 가장 높은 곳은 캐나다로 19.3%였다. 이탈리아는 17%였으며 중국과 미국은 각각 15.6%와 10.4%를 기록했다.
반면 일본은 0.5%로 유일하게 1%를 밑돌았다. 일본 건강기능식품 회수율은 0.3%에 그쳤다. 미얀마도 1.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에 따라 폐기 대상 수입식품의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서미화 의원은 "수입식품 시장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지만 안전성 이슈는 의미 있는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반복적으로 회수, 판매중지 조치가 이뤄진 품목과 수입국에 대해서는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뿐만 아니라 사전 관리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유통 초기 제품 위주로 수거·검사를 진행하고, 다소비 식품으로 부적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검사소요시간을 단축해 부적합 식품이 신속히 조처되도록 하고 있다며 올해 시행된 개선 방안이 안전관리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적용돼 신속한 회수 조치가 이뤄지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