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탄소 크레딧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대한상공회의소, 농림축산식품부, NH농협금융지주는 26일 '농업 분야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농업 분야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참여 농가의 감축 실적을 인증한다.
대한상의는 인증된 실적을 적합성 검토를 거쳐 탄소감축인증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크레딧 발행 및 거래를 지원한다.
크레딧으로 전환 발행된 실적은 플랫폼 내 오픈마켓을 통해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
NH농협금융은 협약 초기 저탄소 농업기술 확산을 지원하는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경영 차원에서 크레딧을 구매할 계획이다.
향후 농식품부는 농업 분야 크레딧 전환 절차를 내부 지침에 반영하고, 연말까지 시범사업을 거쳐 내년부터 크레딧 전환·거래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농업 분야 저탄소 농업기술 보급과 국내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에 협력하자는 취지에 따라 추진됐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대한상의는 탄소감축인증센터를 통해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과 혁신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며 "농업 분야에도 글로벌에서 인정받는 우수한 방법론과 성과가 나오는 만큼, 이번 협약을 계기로 더 다양한 분야에서 자발적 탄소시장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센터는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2023년 1월 설립됐으며, 폐타이어 재활용, 친환경 제설제 생산 등 기업의 자발적 감축 활동을 정량적으로 평가·인증해 현재까지 약 270만t의 크레딧을 발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