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서울시는 식중독 위험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 학교 급식소 473곳을 대상으로 서울시교육청 등과 합동으로 위생 점검을 한다고 3일 밝혔다.
무더위가 한풀 꺾이는 가을, 위생관리 소홀로 인한 식중독 발생 우려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다.
오는 11일까지 시 교육청, 25개 자치구, 11개 교육지원청, 소비자 식품위생감시원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방식으로 진행한다.
점검 대상은 봄 개학 철 점검을 마친 학교를 제외한 초등학교(254개소)·중학교(131개소)·고등학교(88개소) 등 총 473개소다.
시는 상반기에 780개소를 대상으로 점검을 완료했으며, 식품위생법 위반사항이 적발된 곳은 없었다.
점검반은 총 80여 명 25개반으로 구성된다.
주요 점검 사항은 조리장 위생과 청결, 종사자 건강 진단,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식재료 소비기한, 보관 기준 등 위생관리 기준 준수 여부다.
식재료와 조리식품을 수거(50건)해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살모넬라,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노로바이러스 등 식중독균 검출 여부에 대한 검사도 병행한다.
식품위생법 위반 사항 적발 시 같은 법 시행령 제67조에 따라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시는 위반사항은 신속히 개선토록 조치해 급식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지난해 한 초등학교에서 조리실 내 소비기한 경과 제품을 보관해 적발됐다. 점검과 개선 조치가 이뤄지며 식중독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시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 현장 위생점검과 함께 학교 급식에 따른 '대량 조리 음식 식중독 예방 요령' 홍보도 이어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