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밥상 수산물 가격 고공행진…고등어, 작년보다 28% 올라

해수부, 비축수산물·할당관세 고등어 등 2천500t 풀어…할인 행사도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우리 국민이 즐겨 먹는 고등어와 갈치, 조기 등 수산물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밥상 물가에 비상등이 켜졌다.

 

21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고등어(신선 냉장·1마리)의 소비자가격은 4천380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8.4% 높았다.

 

이는 한 달 전보다 3.6% 떨어진 가격이지만 평년보다 17.9% 비싼 수준이다.

 

냉동 고등어 가격도 지난 3월부터 작년과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고등어는 통계청의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서도 작년 동기 대비 12.6%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수산물 물가는 전달(7.4%)과 비슷한 7.3% 올라 전체 물가를 견인했다.

 

고등어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는 중·대형어(마리당 300g 이상)의 생산량 감소가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올해 고등어 누적 생산량은 지난 달까지 7만7천523t(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56.8% 많았다.

 

그러나 부산공동어시장에 위판된 고등어 중에서 중·대형어의 비중은 1.0%로 작년(12.8%)보다 대폭 낮았다. 이는 최근 5개년 중에서 최저 수준이다.

 

부산공동어시장에서 위판된 중·대형어 고등어 비중은 2019년 53.2%, 2020년 49.5%, 2021년 25.3%, 2022년 51.3% 등으로 두 자릿수를 유지해오다 2023년 9.0%까지 낮아졌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중·대형어 생산량이 부진한 이유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수온의 영향으로 생육이 부진하고 어군이 분산된 결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밥상 수산물인 갈치(신선 냉장) 가격은 지난달 기준 한 마리에 6천383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6.5% 높은 수준이다.

 

냉동 갈치 가격도 지난 달 기준 한 마리에 5천707원으로 작년보다 38.9%, 평년보다 5.5% 각각 높은 수준이다. 산지 가격은 지난 1월부터 작년과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해양수산개발원 관계자는 "신선 냉장 갈치의 위판 물량이 줄어 산지가격도 전달보다 4.5% 상승했다"며 "냉동 갈치는 일부 대형소매점에서 할인 행사가 종료되면서 가격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참조기도 지난달 금어기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고 대형소매점 할인율이 떨어지면서 가격이 높게 형성됐다.

 

지난달 기준 참조기 한 마리 가격은 2천143원으로 작년보다 30.1%, 평년보다 9.8% 각각 높았다.

 

해수부는 고등어 등 대중성 어종의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의 비축수산물 1천100t을 추가로 방출하고 지난달부터 수입산 고등어 1만t에 할당관세를 도입하는 등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고등어는 올해 할당관세를 적용한 물량 1천448t이 시장에 풀려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추가 할인 행사나 비축 물량 방출 등 가격 안정을 위한 대책을 계속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