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13일 "노량진 일대 유휴부지를 수산 클러스트로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이날 세종정부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노량진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서울시와 동작구가 노량진 잔여 부지 개발에 대한 지원 의사가 뚜렷하고, 부동산 시장 회복 신호가 확인돼 사업을 재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노 회장은 유휴부지에 대형유통업체의 참여를 유도하고, 해당 업체와 수산물 판매 협약을 체결해 국산 수산물 소비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노 회장은 새로 지어질 복합시설과 노량진 시장의 연계 효과를 위해 두 시설을 연결하는 통로를 설치하고 연계형 할인 제도 도입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수협중앙회는 지난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옛 노량진수산시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1만4천590평(약 4만8천231㎡) 규모의 유휴부지에 공동 주택과 업무시설, 판매시설을 짓는 복합개발사업을 추진했다가 지난 2023년 부동산 시장 여건이 나빠져 사업을 중단했다.
그러다 최근 임기 반환점을 맞은 노 회장이 사업 재추진에 나서면서 수협중앙회가 부동산 개발 전문역을 영입해 공모를 준비 중이다.
수협중앙회는 공모를 통해 민간 공동개발사업자를 지정하고 서울시, 동작구와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논의한 뒤 유휴부지 시설에 들어설 기업이나 대형유통업체 등과 접촉할 계획이다.
수협중앙회는 "선정된 민간 사업자와 함께 프로젝트 회사를 설립하면 개발 사업이 본격화할 것"이라며 "복합시설의 고도 제한 완화에 대해선 추후 서울시와 논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노 회장은 또 수산물 수출을 늘리기 위해 무역지원센터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협중앙회는 8개국 11곳에서 무역지원센터를 운영하면서 국내 수산업체의 수출을 지원하고 있다.
노 회장은 "무역지원센터는 기능이 확대되면 수산물 수출을 늘리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운영 비용이 늘어 적극적으로 업무를 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나 수산물 수출이 어업인 신규 소득 창출과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는 핵심 사업으로 육성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출 성장 가능성은 크지만, 센터가 아직 설치되지 않은 중동과 오세아니아, 남미 등으로 시장 개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