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경기 위축으로 술집과 숙박업 소상공인 매출이 1년 전보다 10% 넘게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몇 년간 고금리가 이어진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업장 약 362만개 중 50만개는 폐업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한국신용데이터(KCD)의 '2025년 1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매출 평균은 약 4천179만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작년 1분기보다 0.72% 줄었고, 직전 분기인 작년 4분기보다는 12.89% 급감했다.
KCD 관계자는 1분기 소상공인 매출 하락과 관련해 "경기 위축과 연말 특수가 사라진 계절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1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지출은 3천153만원, 매출에서 지출을 뺀 이익은 1천26만원을 기록했다.
특히 외식업은 모든 세부 업종에서 매출이 줄었다.
1년 전과 비교해 술집(-11.1%) 매출이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고 분식(-7.7%), 제과점·디저트(-4.9%), 패스트푸드(-4.7%), 카페(-3.2%) 등도 일제히 매출이 감소했다.
서비스업에서는 숙박·여행서비스업 부진이 두드러졌다. 숙박·여행서비스업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1.8% 급감했다.
KCD 관계자는 "특히 외식업과 숙박업은 소비자의 선택적 지출 대상이라, 경제 상황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내수 부진에 통상여건 악화까지 겹치면서 소비 심리 회복은 계속 늦어지는 분위기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8로 3월 보다 0.4p 올랐지만 여전히 100선 아래로, 비상계엄 사태 이전인 지난해 11월(100.7)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소상공인들은 경영 사정이 이렇다보니 대출 원금과 이자를 제때 못 갚는 경우가 늘었다. 빚을 남긴채 폐업한 사례도 상당히 있었다.
KCD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업장은 모두 361만9천개로 추산됐다.
이 가운데 86.2%(312만1천개)는 정상 영업 중이지만, 13.8%(49만9천개)는 폐업(국세청 신고 기준) 상태였다.
폐업한 사업장의 평균 연체액은 640만원, 평균 대출 잔액은 6천243만원이다.
전체 개인사업자의 대출 잔액은 1분기 말 기준 719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약 704조원에서 1년 새 15조원가량 불어났다.
금융권별 비중은 은행 대출이 433조3천억원으로 60.3%,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이 285조9천억원으로 39.7%를 차지했다.
이 중 연체된 개인사업자 대출 원리금 규모는 모두 13조2천억원으로, 1년 전(9조3천억원)보다 4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연체 금액은 은행권에서 2조8천억원, 비은행업권에서 10조5천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특히 저축은행(5.6%)과 상호금융(3.2%) 업권에서 대출 잔액 대비 연체 금액 비중이 높았다.
KCD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개인사업자 경영관리 서비스 '캐시노트' 가입 사업장 16만개를 표본조사하고, 소상공인 실태조사 등 비중을 적용해 전체 개인사업자 현황을 추정했다.
캐시노트를 통해 수집된 사업장별 여신금융협회·홈텍스 연동 데이터가 사용됐고, 대출 등 금융 현황의 경우 한국신용정보원으로부터 받은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도 활용됐다.
소상공인의 시름이 깊어지면서 이번 대선에 출마한 후보들도 소상공인 금융지원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코로나19 정책자금 대출에 대해 채무조정부터 탕감까지 종합방안을 만들고, 비상계엄으로 인한 피해 소상공인 지원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저금리 대환대출 등 정책자금을 확대하고, 지역사랑상품권·온누리상품권 발행 규모를 늘려 소비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소상공인 폐업지원금을 현실화하고 폐업 시 대출금 일시 상환 유예 요건을 완화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대통령 직속으로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단'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소상공인 응급 지원 3대 패키지로 매출액 급감 소상공인에 대한 특별 융자, 경영안정 자금 지원 확대, 소상공인 새출발 희망 프로젝트 지원금 확대를 제시했다.
내수 활성화 대책으로는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한 신용카드 지출에 캐시백을 제공하고, 온누리상품권도 5조5천억원에서 6조원으로 증액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