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개국 국민 57% "자녀가 나보다 가난할 것"

  • 등록 2025.01.10 16:30:50
크게보기

선진국일수록 경제 비관론 뚜렷…한국도 66%가 비관적

[연합] 미래의 경제 상황에 대한 비관론이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지난해 봄 36개국 국민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7%가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경제적으로 가난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래 경제 상황에 대한 비관론은 선진국일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가난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프랑스(81%)였고, 영국과 이탈리아가 각각 79%로 뒤를 이었다.

 

또한 캐나다(78%)와 일본(77%), 미국(74%) 등 대부분의 G7(주요 7개국) 회원국 응답자들도 미래 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예상했다.

 

한국의 경우 응답자의 66%가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가난할 것이라고 답했다. 네덜란드(69%)나 남아프리카공화국(66%)과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인도의 경우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부자가 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75%나 됐다.

 

방글라데시(73%)와 인도네시아(71%), 필리핀(70%)도 미래 경제 상황에 대한 낙관적인 예상이 우세했다.

 

조사 대상 국가에서 빈부격차에 대한 위기 여론도 뚜렷하게 감지됐다.

 

빈부격차가 그 나라에서 '매우 큰 문제'나 '다소 큰 문제'라고 답한 36개국 성인의 비율은 84%에 달했다.

 

독일(92%)과 터키(92%), 그리스(91%) 등 유럽연합(EU) 회원국과 함께 아르헨티나(91%) 등 발전도상국 응답자들도 빈부격차를 큰 문제로 규정했다.

 

한국은 82%로 호주(82%), 미국(83%), 일본(80%) 등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국 응답자 중 47%는 빈부격차가 '매우 큰 문제'라고 답했고, 35%는 '다소 큰 문제'라고 답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이념적 성향에 따라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위기의식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좌파라고 규정한 응답자의 경우 66%가 빈부격차가 매우 큰 문제점이라고 답했지만, 스스로 우파라고 규정한 응답자 중에서 같은 대답은 31%에 그쳤다.

 

한국의 좌파와 우파 응답자의 차이는 35포인트로, 36개국 중에서 미국(46포인트)과 호주(40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는 것이 퓨리서치센터의 분석이다.
 

-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