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식품구매자, 장바구니 물가 19.6% 올랐다고 인식"

  • 등록 2024.12.13 18:16:49
크게보기

2024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구매 줄이고 값싼 제품 선택"
동네 슈퍼·식자재마트 이용 33.5%로 '으뜸'…온라인 주문 9.7%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국내 가구의 식품 구매자는 올해 장바구니 물가가 지난해와 비교해 평균 19.6% 상승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지난 5∼8월 가구 내 식품 주구입자 3천1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를 13일 이같이 발표했다.

    
농경연 관계자는 "올해 식품 구매자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 오름세는 과거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지난 2022년에는 15.4% 올랐고 지난해 상승률은 14.1%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자들은 식품 구매를 줄이고 보다 저렴한 제품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반적으로 식료품 구입을 줄였다는 응답은 지난해 18.4%에서 올해 28.3%로 늘었다.

    
같은 품목에 대해 가격이 더 싼 것을 찾아 샀다는 응답 비율은 지난해 15.8%에서 올해 27.6%로 높아졌다. 

    
가격이 크게 상승한 품목의 구매를 줄였다는 응답은 지난해 29.7%에서 올해 44.6%가 됐다.

    
주로 식품을 사는 장소로는 동네 슈퍼마켓·식자재마트라는 응답이 33.5%로 가장 많았다. 대형마트는 지난해 1위에서 올해 31.5%로 2위로 내려왔다.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슈퍼마켓(13.2%), 전통시장(10.9%)이 뒤를 이었고 온라인에서 주로 주문한다는 응답은 9.7%로 작년보다 5.6%포인트 높아졌다. 

    
집에서 대부분의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고 답한 가구는 2015년 93.0%에서 올해 60.4%로 떨어졌고, 집에서 음식을 잘 만들지 않는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7.0%에서 39.6%로 늘었다.

   
 아침으로 밥을 먹는다는 답변이 66.7%에 이르고 아침식사를 거른다는 응답은 9.7%였다.

    
쌀을 두세 달에 한 번은 산다는 응답은 57.6%로, 5년 전보다 7%포인트 떨어졌다. 

   
 햇반 등 즉석밥을 먹어서 쌀을 사지 않는다는 가구 비율은 2019년 2.2%에서 올해 4.0%로 높아졌다. 

    
즉석 섭취 식품을 주 1회 이상 구매하는 가구는 2021년 15.3%에서 올해 22.1%로 증가했고 즉석조리식품을 주 1회 이상 구입하는 가구는 같은 기간 16.2%에서 25.7%로 늘었다.

황재연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