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전 과체중 비만, 뇌 건강에 영향"

  • 등록 2022.11.30 09:42:15
크게보기

사춘기 이전의 과체중 또는 비만이 뇌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예일 대학 의대 영상의학 전문의 시몬 칼텐하우저 교수 연구팀이 전국 21개 의료기관에서 9~10세 아이들 5천169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사춘기 뇌 인지 발달'(ABCD: Adolescent Brain Cognitive Development)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도했다.

 

 

연구 대상 아이 중 여성은 51.9%, 과체중은 21%, 비만은 17.6%였다.

 

연구팀은 이 아이들의 뇌 구조 변화를 보여주는 구조적 MRI(structural MRI), 휴지상태 기능적 MRI(resting-state functional MRI), 뇌 백질(white matter)의 신경 연결망을 보여주는 뇌 확산 텐서 영상(DTI: diffusion tensor imaging)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아이들은 뇌의 구조적 변화와 함께 뇌 백질의 온전성(integrity)이 상당히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질 중 특히 뇌의 좌우 반구를 연결하는 '다리'인 뇌량(corpus callosum) 부분에서 비정상 변화가 발견됐다.

 

과체중, 비만 아이는 또 뇌의 표면을 구성하는 피질인 회색질(gray matter)의 가장 바깥층 두께가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의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손상됐다는 의미다.

 

뇌는 신경 세포체로 구성된 겉 부분인 대뇌 피질과 신경 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다. 피질은 회색을 띠고 있어 회색질,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불린다.

 

휴지 상태 fMRI 영상 분석에서는 인지 기능, 동기 유발(motivation), 보상 기반 의사결정(reward-based decision making)을 관장하는 뇌 부위의 기능적 연결 상태가 체중이 올라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서도 상당히 이른 시기인 9~10세 연령대에서 이러한 뇌 변화가 나타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는 체중 증가가 신체 건강만이 아니라 뇌 건강과도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전체적인 결과는 아이들의 연령, 성별, 인종-종족, 사회경제적 형편, 손잡이(handedness)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시카고에서 열리고 있는 북미 영상의학 학회(RSNA: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