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던 강(江)이 갑자기 생겨?....충북 중부권 흐르는 미호천(川), 미호강(江) 되다

  • 등록 2022.07.07 05:14:05
크게보기

환경부와 충북도 7일 관보와 도보에 고시

충북 3개 시-군(음성군, 진천군, 청주시) 관류... 금강수계 중 가장 큰 하천

전문가 "하천연장 79.22km로 그 중 국가하천이 64.51km인 81.4% 차지.....江”이라는 명칭 사용은 당연"

 

[문화투데이=구재숙 기자] 환경부와 충청북도는 미호천(美湖川)의 명칭을 미호강(美湖江)으로 변경하고 7일 관보와 도보에 각각 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호강`으로의 명칭변경은 지난 6월말 국가하천 구간은 환경부 주관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 심의, 지방하천 구간은 충청북도 수자원관리위원회 심의를 각각 거쳐 이견 없이 원안의결로 통과됐다.

 

미호강은 음성 망이산성에서 발원하여 한남금북정맥(좌청룡)과 금북정맥(우백호)사이로 충북 3개 시-군(음성군, 진천군, 청주시)을 관류하는 하천으로 금강수계 중 가장 큰 하천이며, 충북 중부권역 문명의 발상지이자 미래성장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하천이다.

 

이에 충북 중부권역의 대표하천으로서 강을 하천명으로 사용하는 다른 하천보다 규모가 큰 미호천의 위상에 걸맞은 큰 하천의 개념인 “강(江)”으로의 명칭변경 필요성에 대한 도민의 관심과 요구를 반영하여 미호강으로 변경을 추진하게 됐다.

 

지난해 11월 미호천이 경유하는 청주, 진천, 음성 등 시-군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의견 수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85.9%의 대다수 주민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호강의 유역면적은 1,854.3㎢로서 충청북도 전체 면적(7,407㎢)의 25%에 해당하는 유역면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천연장은 79.22km로 그 중 국가하천이 64.51km로 81.4%를 차지하고 있어“江”이라는 명칭 사용은 당연하고 타당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었다.

 

강종근 충북도 자연재난과장은 “이번 미호강 명칭변경을 통해 미호강이 충북 중부권역 중심하천이자 미래성장의 거점으로 거듭나고 지역민들의 미호강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며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미호강` 명칭변경 과정중 `미호천`이라는 명칭이 일제 강점기 잔재라며 미호강을 `동진강(東津江)`으로 변경을 해야 한다는 일부의견에 대해 도 관계자는“이번 변경은 미호강의 규모와 위상에 맞게 `천`을 `강` 으로 변경한 것이며, 추후 역사적 고증과 여론수렴을 통해 지역주민 공감대 형성 후 강의 명칭변경 추진도 가능할 것이다.”라고 부연 설명했다.

구재숙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