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과 현대자동차·SK·LG·포스코·롯데·한화·GS 등 국내 30대 주요 그룹들이 올해 협력사 동반성장 분야에 1조7161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1219억원(7.6%) 늘어난 규모다. 해외 판로개척 분야 등의 지원을 늘려 주요 협력사를 글로벌 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7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동반성장위원회는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2014년 동반성장 실천계획 발표대회'를 열고 이 같은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대회에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장희 동반위원장, 대·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와 임직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국내 30대 주요 그룹은 이날 협력사의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판매·구매 지원에 5592억원, 생산성 향상에 4527억원을 투입하고 기술력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R&D) 분야에 2855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해외 판로개척 지원액을 지난해보다 16.5% 확대했고 보증·대출과 인력양성 지원액도 각각 11.5%, 10.5% 늘렸다.
이들 그룹 최고경영자들은 또 1차 협력사 외에 2~3차 하위 협력사 성장지원에도 역점을 두겠다고 발표했다.
2012년 ‘혁신기술기업협의회’ 운영을 통해 협력사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한 삼성은 올해 중소기업이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1차 중심에서 2차 이하 협력사로 상생협력 생태계 확대하겠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협력사의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R&D 펀드 조성, 사내 컨설턴트 200여명과 경영혁신을 지원하는 상생협력 아카데미 를 운영할 방침이다.
LG도 올해는 창조경제포털을 활용한 사업화 자금지원, 유휴특허 공개, 신기술 공동개발 등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 역시 협력사 육성에 초점을 맞춘 계획이다.
현대자동차 역시 우수 인재 확보에서 기업 성장 견인으로 지원 방향을 틀었다. 현대차는 중견기업 156개를 대상으로 R&D 투자 가이드라인 제정해 지원 프로그램을 적용해 1.2차 협력사 성장 견인을 위한 기술ㆍ경영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혁신 아이디어를 제안한 사내외 벤처에 개발비를 선(先)지급하고 연구결과물에 대한 특허 공동출원, 현금보상, 구매계약 등 성과공유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SK도 자금난을 겪는 유망 중소기업에 동반성장 사모투자펀드, 신기술 투자펀드를 통해 연구비와 설비투자비 명목으로 850억원을 투자하고 보유기술도 중소기업에 무상 양도할 예정이다.